공공언어 개선의 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될까?
공공언어 개선의 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될까?
  • 김세영 기자
  • 승인 2011.06.29 1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국어원(원장: 권재일)은 행정기관의 어려운 용어 때문에 얼마만큼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지, 또 이러한 어려운 행정용어와 정책명을 알기 쉬운 말로 개선할 경우에 어느 정도의 경제적 효과를 얻게 되는지를 현대경제연구원에 의뢰하여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행정기관이 사용하는 낡고 권위적인 표현, 그리고 생소한 외국어로 된 정책명 때문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빚어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날마다 쓰는 어려운 행정용어만 개선해도 연간 170억 절감

우선 일반 국민이 행정기관의 서식 등을 작성할 때에 어려운 행정용어(예: 귀책사유, 봉입, 불비, 익일 등) 때문에 치러야 하는 시간 비용은 1년에 약 170억 원으로 추산되었다. 이는 일반 국민이 치러야 하는 비용 118.3억 원과 민원 처리 공무원이 치러야 하는 비용 51.8억 원을 합한 것이다.

※ 금액 산출 근거: 어려운 용어를 1년에 1회 이상 접한 국민 총수(14,949,719명) × 일반 국민이 어려운 용어를 접한 1년 평균 횟수(1.85회) × 어려운 용어로 인해 추가로 들이는 평균 소요 시간(125초) × 일반 국민 시간당 평균 노동 임금(12,331원)

※ 조사 방법: 2010년 4월 22일부터 30일까지 1,024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