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왜? '4대강' 공사로 온국토가 부실
대체 왜? '4대강' 공사로 온국토가 부실
  • 김세영 기자
  • 승인 2011.08.03 0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27일 폭우로 6명의 인명피해를 낸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천의 사례가 4대강 공사의 허점을 여실히 보여준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3일 보도자료를 내고 “곤지암천 수해 사례는 ‘홍수 피해는 지류 및 지천에서, 물의 흐름을 막는 구조물 주변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해 주는 것”이라며 “이는 정부가 4대강 사업을 하면 지류 홍수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를 증명하는 사례”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며 본류의 강바닥을 낮추면 물이 지류에서 본류로 잘 빠져 본류 주변은 물론 지류의 홍수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본류 정비가 97% 완료됐다고 하는 현 시점에서 지류 지천의 피해가 심각함을 들어 4대강 사업 추진 논리를 반박한 것.

MBC 4대강 비리수첩 제작단이 지난 1일 곤지암도시공원부터 학동천 합류지점까지 곤지암천 수해 현장을 조사한 결과 피해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었다.

광주시 실촌읍 삼리 곤지암 청소년 수련원 인근의 수중보(하천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콘크리트 구조물) 하류 90미터 지점(축구장 앞)에는 시멘트 블록이 설치된 제방이 약 50m 가량 붕괴됐다. 가로등과 하천 안내판 등이 뿌리 채 뽑혀 쓰러져 있고, 둔치와 하천이 만나는 지점에 침식 방치를 위해 있는 시멘트 구조물도 심각할 정도로 침식됐다. 자전거 도로용 아스콘이 하천 여기저기에 널브러져 있고 커다란 아스콘은 인근 하수차집관로에 부딪혀 멈춰 있다.

광주시 초월읍 용수3리에 위치한 쌍용교 인근 지역은 지난 27일 홍수가 우측 제방을 역류해 침수 피해를 입은 곳이다. 쌍용교 하류 좌안은 1~2Km 사이 곳곳에는 시멘트 블럭 및 제방이 유실됐다. 현재 이곳은 흙을 담은 포대자루를 동원해 임시 공사가 진행 중이다.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4대강 시민조사단이 7월 30일 광주시 도평리 선린교부터 경안천 합류지점까지 현장 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여기서도 자전거 도로 붕괴 및 고량 난간 유실과 광주하수처리장 등의 침수 피해를 확인했다.

4대강 시민조사단 현장 조사에 참여한 이상돈 중앙대 법대 교수는 지난 1일 자신의 블로그에 “우면산 산사태가 아니었으면 곤지암천 범란은 큰 뉴스거리가 됐을 것”이라며 “곤지암천은 물이 별로 많지 않은 지천인데, 이번 폭우로 곤지암천이 범람했다. 용수리부터 곤지암천변 도로를 가면서 처참한 홍수 현장을 볼 수 있었다. 곤지암천이 굽어 돌아가는 지점에 있는 남촌 유원지는 거센 물살에 완전히 박살이 났다. 이용하는 사람도 별로 없던 자전거 길은 군데군데 끊어져 있었고, 다리는 거센 물살에 난간이 몽땅 없어져 버렸다”고 피해의 심각성을 얘기했다.

이 교수는 “우리가 돌아본 도로 반대편 곤지암 천변에는 변변하게 제방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제방 축조계획이 서있기는 하나 예산 때문에 몇 년 째 지연되어 왔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지천은 이런 상태로 내버려 두고 멀쩡한 본류를 파헤치느냐고 수십조 원을 퍼붓는 것이 얼마나 무모한가”라고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꼬집었다.

환경운동연합은 “광주시는 이번 홍수 피해를 불가항력적인 천재지변이라 말하고 있지만 이번 홍수 피해는 상당부분 하천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탓”이라며 “홍수 피해가 잦은 지류지천을 우선하지 않은 현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며, 자지단체장의 치적을 위해 무리하게 자전거 도로를 건설하는 등이 피해를 가중 시킨 면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조사를 통해 정부가 4대강 공사를 통해 지류의 홍수 피해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님이 확인됐다. 이는 운하반대교수모임 및 환경운동연합 등이 주장한 것처럼 지류지천을 먼저 정비해야 함을 일깨워주는 사례”라며 “지금 필요한 것은 유역 홍수 할당제, 상습침수 지역 매입을 통한 홍수터 복원 등 비구조물적 홍수 방어 대책이다. 준설 탓으로 돌리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