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이코노미]여성 1인가구, 5평 미만 사는 현실
[솔로이코노미]여성 1인가구, 5평 미만 사는 현실
  • 정단비 기자
  • 승인 2017.09.13 0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 소득과 주거현실 조사

통계청의 2015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서울지역 1인가구는 2000년 50만가구에서 2015년 112만가구로 2배 가량 증가했다. 2015년 기준으로 서울시의 1인가구 비중은 전체의 29.5%에 달하고 있다. 2000년 당시만 해도 서울지역의 1인가구 비중은 16.3%에 불과했다. 이것도 당시 전국평균인 15.5%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2015년에도 전국 평균인 27.2%보다는 서울지역 1인가구 비율이 보다 더 높다. 

서울지역 1인가구를 성별로 나눠보면 여성의 비중이 51.2%로 더 많았다. 서울연구원이 통계청의 조사결과를 여성에 맞춰 구체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보면, 이들의 특성을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 2015년 현재 서울의 여성 1인가구는 57만가구였다. 2000년 26만가구에서 2005년 35만 가구, 2010년 45만 가구로 매번 조사 때마다 증가세가 뚜렷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가구 중 여성 1인가구의 비중 역시 2000년 8.5%에서 2005년 10.6%, 2010년 12.6%, 2015년 14.6%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에서 여성 1인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19.2%의 관악구였다. 이어서 마포구(17.9%), 서대문구(17.6%), 광진구(17.4%) 순이었다. 

1인가구를 연령대로 나눠보면, 30세 미만이 25.4%, 30대 19.6%, 70세 이상 17.6%, 60대 12.8% 순이었다. 서울 지역 여성 1인가구의 절반에 가까운 45%가 39세 이하의 연령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경제현실은 녹록치 않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에 따르면 2015년 서울시의 20세부터 39세 사이 취업자 수는 210만명으로, 2000년 250만명에서 40만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취업자수는 456만명에서 509만명으로 53만명이 늘어났다. 모든 연령층에서 취업자수가 늘어났으나, 유독 이들 2030세대만은 취업자수가 감소해, 다른 세대에 비해 일자리 문제를 더 심각하게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문제는 주거문제로 이어지게 되고, 삶의 질 문제로 직결된다. 서울 2030세대 여성 1인가구의 삶의 질을 엿볼 수 있는 조사로, 최근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이 발표한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는 주목할 만 하다. 이 연구에는 20세부터 39세 사이 1인가구 여성 706명을 대상으로 한 소득과 주거에 대한 조사결과가 실려 있다.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 소득에 따라 주거격차 심해

▲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 조사, 단위: %(자료=서울시여성가족재단)

이에 따르면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11만7000원이었으며, 정규직은 238만5000원으로 비정규직의 172만7000원에 비해 66만원 가량 소득이 높았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소득격차는 여성 1인가구에서도 예외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소득분포를 보면, 200만원에서 250만원 미만이 28.8%로 가장 많았으며, 150만원~200만원 미만(22.0%), 250만원~300만원 미만(16.3%)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 비정규직 중 15.2%는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으로 조사됐고, 전체의 29.7%는 월평균 소득이 150만원 미만이었다. 반면 정규직은 100만원 미만 소득이 없었으며, 150만원 미만 소득은 8.6%에 그쳤다. 반대로 정규직의 35.5%는 월 250만원 이상의 소득구간에 위치했으나 비정규직은 11.7%에 그쳤다. 

교육수준별 평균 월평균소득을 보면, 고졸이하 청년여성 1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72만8000원, 전문대졸 200만2000원, 대학교졸 213만6000원, 대학원졸 277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졸이하 청년여성 1인가구는 대학원졸업 청년여성 월평균소득의 62.2% 수준에 그쳤다. 

▲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 조사, 단위: %(자료=서울시여성가족재단)

월평균 생활비 역시 소득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38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평균소득 211만7000원의 38.9%수준이었다. 정규직의 경우 월평균 생활비가 88만7000원으로 월평균소득의 37.2% 수준이었다. 비정규직의 경우 정규직에 비해 14만8000원 적은 73만9000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월평균소득의 43.8%수준이다. 소득이 적을수록 월평균 생활비의 비중은 높게 나타난 것이다. 

주거환경에서도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격차가 나타났다. 서울시 청년여성 1인가구는 주로 연립/다세대, 오피스텔 중심의 주거형태를 보였으며, 비정규직의 경우 상대적으로 열악한 주거환경 거주비율이 높았다. 

▲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 조사, 단위: %(자료=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는 연립/다세대(31.9%)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오피스텔(29.0%), 고시원/원룸(21.5%), 아파트(13.0%), 단독주택(4.5%) 순으로 조사됐다. 정규직의 경우, 아파트 거주비중이 15.7%로 비정규직(7.6%)에 비해 높았다. 반대로 고시원/원룸 거주비중은 정규직(18.5%)보다 비정규직(27.2%)이 더 높았다. 소득이 높을수록 아파트와 오피스텔 거주 비중이 높아졌고, 소득이 낮을수록 고시원/원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정규직의 주거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었다. 20평 이상에서 거주하는 비율은 정규직이 11.9%로 비정규직(5.4%)의 2배에 달했다. 반면 5평 미만 거주 비율은 비정규직이 7.6%로 정규직(3.1%)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주거면적의 경우, 5평에서 10평 미만에서 주거하는 비율이 37.3%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10평~15평 미만(32.4%), 15평~20평 미만(15.4%)이 뒤를 이었다. 5%는 주거면적이 5평 미만으로 조사됐다. 이는 주거기본법에 따라 국토교통부 장관이 정하는 '최저주거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기존연구에 비해 청년세대 주거빈곤율이 낮게 조사된 원인으로 30대 중후반이 다수 표집되고, 소득이 있는 청년세대를 조사대상으로 한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 조사, 단위: %(자료=서울시여성가족재단)

또한 "서울시 청년여성 1인가구의 주거면적은 월평균소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positive) 관계를 보였다. 즉, 청년여성 1인가구의 경제적 여건은 주거형태뿐만 아니라 주거면적 역시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주거형태는 보증금 있는 월세가 44.3%로 가장 많은 가운데 전세(34.7%), 반전세(10.3%), 자가(6.2%) 순이었다.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월평균 주거비 부담이 적고, 주거가 안정된 점유유형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관찰됐다. 

1인가구 생활에 만족, 공동체주택에 대한 인식 '부정적'이 더 높아

그러나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의 주거를 지원하는 공동체주택 정책에 대해서는 의문부호가 붙는 조사결과도 함께 나왔다. 공동체주택 거주가 고립감 해소에 도움이 될 지를 묻는 질문에는, 부정적인 응답이 50.7%로 긍정적인 응답(49.3%)을 근소하게 앞섰다. 공동체주택 거주가 주거비 부담을 낮출 것이라는 데는 67.3%가 긍정적으로 답했지만, '사생활 보장이 되지 않을 같다'는 질문에 80.3%가 동의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 서울 2030 여성 1인가구 조사, 단위: %(자료=서울시여성가족재단)

이들이 왜 서울에서 1인가구로 생활하고 있는지 원인을 보면, 공동체주택에 대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응답의 원인을 짐작할 수 있다. 서울시 청년여성의 1인가구 유입경로는 직장 또는 학교와의 거리(61.5%)가 가장 많았으며, 개인적 편의(가족 및 주변으로부터의 사생활 보장 등)와 자유를 위해서라는 응답도 26.4%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특히 19~24세 청년여성 1인가구 중 개인적 편의와 자유를 위해 1인가구로 유입된 비중은 15.8%에 불과했으나, 점차 비중이 높아져 35~39세 청년여성 1인가구의 경우 36.0%에 달했다. 

이는 주거지 선택시 중요시 여기는 요인에도 잘 나타나 있다. 주거지 선택 시 1순위 고려 요인으로는 '직장 또는 학교와의 거리' 47.6%로 가장 많았고 낮은 비용(20.0%)이 뒤를 이었다. 2순위는 교통의 편리함(24.9%), 낮은 비용(17.8%) 등을 꼽았다. 

조사대상 중 44%는 여성 1인가구를 위한 정책으로 '주택안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는데, 이들이 가장 원하는 정책은 '1인 가구를 위한 원룸형 소형주택 공급'(52.7%)으로 조사됐다. 이어서 부양가족이 없는 1인가구 임대주택 입주조건 완화(24.1%), 주택마련을 위한 저금리 대출지원(13.0%), 여성 1인가구를 위한 공동체주택(10.2%)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팝=정단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