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이코노미 칼럼] '1인가구 증가'가 막는다고 막아질 문제인가?
[솔로이코노미 칼럼] '1인가구 증가'가 막는다고 막아질 문제인가?
  • 정단비 기자
  • 승인 2017.01.11 1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미 시대는 변했다..'잃어버린 20년'을 피하려면 변한 환경에 맞는 대안 필요 시점

1인가구가 2000년 226만 가구에서 2017년 500만명이 넘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에 많은 산업군에서 1인가구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1인가구 증가가 문제라는 인식도 많다. 특히 최근 많은 언론에서 '저출산 극복', '인구절벽',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을 강조하며 암울한 미래를 부각하고 있다.

심지어 '인구재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곳도 있다.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연령대인 생산가능인구가 본격적으로 감소는 '인구 오너스' 시대가 시작된 지금, 과연 1인가구 증가가 막는다고 막아질 일일까?

저출산, 고령화 사회는 분명 지금과는 다른 삶의 패턴을 가져올 것이다. 하지만 이는 우리나라 뿐만 아닌 세계적인 추세이자 흐름이다.

특히 이것이 문제라고 지적하는 과정에는 가장 중요한 것이 빠졌다. 환경이 변했다는 점을 머리로는 알지만 가슴으로는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최근 혼자 무엇을 하는 '혼족'이 트렌드가 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청년층은 인간 관계에 지쳤다. 그리고 무엇을 하기 위해 신경을 쓸 겨를이 없다.

2017년 트렌드라는 'YOLO'(You Only Live Once), '1코노미'(솔로이코노미)와 같은 신조어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긴 것이다.

경기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젊은 세대의 '나 한몸이라도 잘 먹고 잘 살겠다'는 시대정신이 담긴 것이다.

일본과 비교하는 예시가 많다. 일본 생산가능인구가 1996년부터 줄기 시작하면서 '잃어버린 20년'이라는 혹독한 시절을 보내고 있다는 요지이다.

많은 이들이 이 같은 일본의 사례를 보고 두려워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의 어려운 상황을 이미 보고도 선제적인 대안은 제시하지 않는다.

현 상황을 지연시키는 것이 능사인가. 물론 정부에서도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개성 강한 젊은 층을 포용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

이 대목에서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게 된다. 충분한 수입, 맞벌이 부부의 육아대책,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한 유리천장 제거, 안정된 고용.. 이러한 것들을 단시간에 변화시킬 수 있는 일인가.

사회 인프라와 고정관념을 바꾸는 것은 기간이 오래 소요되는 어려운 일이다. 그동안 그토록 오랫동안 주장해온 결과가 지금 이 상황인 것을 보면 알 수 있지 않나. 

게다가 계몽을 하기도 전에 젊은 층의 사고방식은 이미 바뀐 상태이고, 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벌써 행동으로 나타나는 시점이다. 

지금 상황에서 1인가구 증가를 '막아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한 첫 단추부터 잘못 꿰어진 것이다.

앞선 선진국들의 사례를 보더라도 이 문제를 해결한 나라가 있었던가. 청년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지 않고 인식만 변화시킬 수 있는 방책이 있다면 가능할지도 모르겠으나, 그것은 여성의 사회진출의 문턱을 낮춘 것보다도 어려운 일일 것이다.

'변해버린 인식을 되돌린 순 없다'
상황에 맞는 국가정책 뒷받침 돼야
기업들은 발빠른 태세 전환

일본의 전처를 밟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상황에 적응하고 그에 맞는 국가 경제를 발전시킬 방안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 인구 감소로 인한 소비절벽이 우려되면 그에 맞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1인가구들의 소비성향이 높다는 조사 자료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빠르게 태세를 전환하고 있다.

불과 6개월 전만해도 '1인가구'이라는 타이틀이 붙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던 기업들의 태도가 변했다. 이젠 앞장서서 '혼밥', '혼술'을 부르짖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2인이상 가구의 월평균 식품비는 74.4%인 가운데 엥겔지수가 27.1%인 것에 비해 1인가구의 엥겔지수는 29.2%로 더 높았다.

혼자 버는 1인가구가 월평균 소득과 지출이 다인가구에 비해 적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지만, 소득에 비해 지출 비율이 높다는 것은 주목할 점이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 정부도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지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1인가구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매일경제에 따르면 통계청은 1인가구와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별 특성을 반영한 물가보조지표를 작성해 2017년 11월 발표하기로 했다.

매월말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체감물가 사이 괴리가 크다는 비판을 타계하기 위한 방책이다. 

또한 정부는 두 가구 유형을 소비·지출 패턴에서 전체 평균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두 유형을 지표로 삼았다는 전언이다.

이와 더불어 농림축산식품부는 2017년 업무계획에서 1인가구 증가 등에 따른 간편식(HMR·도시락 등), 기능성·고령친화 식품 등 유망품목을 선제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도 2017년 계획에 1인가구 증가, 고령화 등 소비 환경 변화에 따라 인기가 높아지는 전동스쿠터, 즉석조리제품 등의 제품 가격과 품질 비교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물론 보건복지부 등과 같은 일부 부처에서는 가정과 일의 양립에 대해 최선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선 고령 1인가구를 위한 복지 정책도 아주 열악한 상황이니 이 부분도 관심이 필요하다.

지난 통계청 조사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1인가구는 27.7%이며, 2035년에는 34.3%까지 증가한다고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스웨덴, 노르웨이 등은 1인가구 비율이 40%에 육박하고 2011년 기준으로 평균 1인 가구 비율은 27.7%, 미국 28%, 영국 28.5%, 일본 32.7%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이제 평균이다. 일본처럼 '잃어버린 20년'을 살게 될 것이 두렵다면 똑같은 전처를 밟을 것이 아니라 반면교사 삼아야 할 시점이다.

한편, 1인가구에는 미혼·비혼 이외에도 이혼·사별 가구, 시설 자립청소년 등 여러 유형이 있다는  점도 생각해야 한다.

미혼모나 미혼부처럼 아예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를 혼자 키우는 가족도 7만명에 달하는 시대이다.

1인가구 증가로 인해 생겨난 쉐어하우스, 시니어 공동체, 펫 패밀리 등 다양한 유형의 공동체들도 가족으로 인정해야 할 시대가 머지 않은 듯 하다.

(데일리팝=정단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