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이코노미] 병원비 부담 큰데, 반려동물 보험 이용은 아직.. 이유는?
[솔로이코노미] 병원비 부담 큰데, 반려동물 보험 이용은 아직.. 이유는?
  • 이창호 기자
  • 승인 2017.12.06 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뉴시스

"아기 고양이 한 마리 분양 받으려고 하는데, 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반려동물을 기르고 싶은 예비집사들이 인터넷에 자주 묻는 질문이다. 하지만 대답하기 대단히 어렵다는 답변만 듣게 된다. 반려동물을 키우는데 드는 비용은 워낙 편차가 커서 일반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먹을 것이나 각종 용품 비용은 쉽게 가늠할 수 있지만, 아프기라도 하면 병원비가 얼마나 들지 예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지난 1월 소비자교육중앙회가 20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0.7%가 동물병원비가 '비싸다'고 응답했다. 반려인들이 병원비 부담을 많이 느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더욱 문제는, 진료비가 표준화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동물병원의 초진비와 검사비, 예방접종비 등은 병원별로 최대 4∼7배까지 차이가 났다.

이런 부담은 완화하고자, 외국에서는 반려동물 보험 시장이 활성화됐다. 미국 일부 주에서는 사람의 의료비와 마찬가지로 반려동물 의료비에 대해 세금을 공제해주는 제도 도입이 추진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삼성화재·롯데손해보험·현대해상 등이 반려동물의 진료비, 치료비, 수술비 등을 보장하는 보험상품을 출시한 바 있다.

하지만 한국의 반려동물 보험은 아직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지 않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으로 한국의 반려동물보험 가입건수는 약 2000여건에 불과하다. 등록된 반려동물 수는 이미 100만마리를 넘어선 상황이다. 보험연구원은 등록되지 않은 수까지 고려해, 한국의 반려동물 보험 가입률을 0.1% 수준으로 보고 있다.

일본의 반려동물 보험 가입률은 2~3%대로 한국보다 높다. KB경영연구소가 추정한 한국의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 비율은 30.9%로, 일본(27%)과 차이가 크지 않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비율이 한국보다 높은 영·미·독 등의 나라는, 반려동물보험 가입률도 10~20%대에 달하고 있다.

가입률이 낮은 이유는 다양하다. 일단 보험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보험료 자체가 너무 비싸다거나, 보험의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는 반응도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반려동물 보험이 출시되고 경쟁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 보험료와 보험금 문제, 보험의 실효성 등 다양한 문제가 자연스레 풀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한국 보험회사들은 반려동물 보험 출시에 적극적인 분위기가 아니다. 여기에는 구조적인 이유가 있다.

반려동물 보험의 등장은 사실 최근의 일이 아니다. 최초의 반려동물 보험은 2007년 10월에 출시된 바 있다. 2008년에는 유사한 상품들이 줄줄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 판매가 중지됐다가, 2014년동물 등록제 의무화를 계기로 다시 출시가 재개된 것이다. 판매가 중지된 이유는, 예상보다 높은 손해율 때문이었다.

손해율이 높았다는 것은, 진료비에 따른 적정한 보험금이 산정되지 않았거나 그에 따른 적정한 보험료를 받지 못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사람의 보험에서는, 표준화된 진료비 기준이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춰 보험금을 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은 표준 진료비가 부재하고 데이터도 충분히 쌓여있지 않다. 따라서 보험료 산출이 보험료 산출도 상대적으로 어렵다.

일각에서는, 동물병원에 표준수가제나 의료비 공시제를 도입해 의료비의 표준화나 의료비 관련 정보의 투명화를 추진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보험연구원은 반려동물보험 활성화를 위해, 처음 입양 시점부터 동물등록을 의무화하고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등록 자체에 대한 의무화는 아니지만, 최근 국회에서는 반려동물 판매업자에게 동물등록제도에 대한 고지 의무를 부여하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반려동물에 대한 공적 보험 도입 논의도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지난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경선에 참여하면서,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보험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동물보호 공약을 내놓기도 했다.

민주당 정재호 의원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금융위가 반려동물 공적 보험 도입을 위해 표준 수가제 도입 논의에 들어갈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반려동물에 대한 공적 보험이 도입될 지, 또는 반려동물 보험 상품이 보다 다양하게 출시될지는 결국 의료비 문제로 귀결될 공산이 크다. 진료비가 보다 투명해진다면, 그에 따른 최대 수혜자는 반려동물과 반려인들이 될 전망이다.

(데일리팝=이창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