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의료, 문화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람을 대체하는 기술과 상품이 적용, 출시되고 있다. 바야흐로 '기계인간 시대'가 눈앞에 다가온 것이다.
금융시장에선 '로드어드바이저(Robo-Advisor)'라는 사람을 대체하는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로드어드바이저는 사람을 대체하는
'자동화된 투자자문 및 자산관리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2018년 1조원 규모지만 점점 확산되어 2020년 5조원 2025년엔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대면 접촉(사람)과의 차이는 무엇일까?
로보어드바이저 | 휴먼어드바이저 | |
채널 | 온라인(비대면) | 대면 접촉 |
주요 고객 | 일반 투자자 | 고액 자산가 |
투자금액 | 소액 | 고액 |
이용 시간 | 24시간 | 업무시간 내에 |
경쟁력 | 편리한 접근성, 저비용 | 전담인력의 포괄적 투자자문 |
주요 증권, 자문사는 주식, ETF, 펀드 포트폴리오 자문형태의 로보어드바이저를 도입하고 있고 가입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가입자 수는 2017년 7월말 1만2663명에서 2018년 3월말 3만9356명으로 증가했다. (자료=하이로보) KEB 하나은행의 '하이 로보', 신한은행 'M 폴리오', 우리은행의 '우리로보알파', KB국민은행의 '케이봇쌤' 등이 있다.
로드어드바이저를 이용하는 이유는 이용의 편의성이 42.2%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객관적인 포트폴리오 점검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1년 동안 대면 서비스를 하는 영업점 이용 비중이 73.7%로 높게 나타났고로드어드바이저에 보완되어야할 부분에서 50.3%로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응답해 아직은 AI 기반의 서비스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로드어드바이저의 관심과 가입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자료=하이로보)
*하나은행 PB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조사 분석 결과
(자료=KEB하나은행 2018 대한민국 로보어드바이저 보고서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데일리팝=기획 정단비/ 디자인 엄태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