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주행거리·성능 큰 차이 있어..성능 좋은 전동킥보드는?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주행거리·성능 큰 차이 있어..성능 좋은 전동킥보드는?
  • 임희진
  • 승인 2021.10.14 11: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근거리 이동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나, 제품 간 품질 차이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높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가 선호하는 전동킥보드 6개 업체의 6개 제품을 대상으로 주행거리, 주행성능, 충전시간,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내구성 및 배터리 안전성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으나 주행거리, 주행성능(속도유지 성능, 등판 성능), 충전시간 등에서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사진=한국소비자원)
(사진=한국소비자원)

주행거리 및 충전 전력량부분에서 완충한 상태에서의 주행거리는 21.1 km ~ 42.4 km로 제품 간 약 2배의 차이가 있었다. 충전에 필요한 전력량(Wh)은 제품별로 351 Wh ~ 616 Wh로 차이가 있었으며, 충전 전력량이 가장 많은 유로휠(EURO 8 TS600 ECO) 제품의 주행거리가 42.4 km로 가장 길었다.

충전시간부분에서 방전된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제품별로 5.6시간~7.2시간이었고, 충전 전력량과 충전시간이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았다.


속도유지 성능 및 등판 성능은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

속도유지 성능부분에서 주행 초반의 최고속도가 주행종반까지 유지되는 정도를 평가한 결과, 세그웨이-나인봇(E45K), 미니모터스(스피드웨이 미니4 프로)는 100% 수준을 유지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나머지 4개 제품은 주행종반에서 최고속도가 80% 수준을 유지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됐다.

등판 성능부분에서 등판 성능이 부족할 경우 오르막 주행 중 정지하게 되고, 전동 킥보드를 끌고 가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2개 제품이 주행종반까지 10도의 경사로를 20m 이상 등판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등판 성능이 ‘우수’했다.


내구성과 배터리 안전성,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

내구성부분에서 방수 시험, 하중(핸들, 접는 장치, 바퀴 등) 시험, 고온(70℃), 저온(-40℃), 상온·다습환경(25℃, 93% R.H) 노출 시험 등에서 모든 제품이 이상이 없었다.

배터리 안전성부분에서 배터리의 저전압보호, 단락, 충돌,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한 발화, 폭발 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구조 안전성, 1개 제품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다.

겉모양·구조부분에서 제품의 제동장치, 날카로운 부위, 내부배선 등 주요 장치들의 구조 및 작동상태 등을 확인한 결과, 롤리고고(LGO-E350lite) 제품의 브레이크 레버 간격이 안전기준(100 mm 이하)을 초과했다.
 

무게, 보유기능 등은 제품별로 차이 있음

제품특성부분에서 제품별로 무게는 최소 14kg에서 최대 18kg이었으며, 도난방지, 정속주행, 서스펜션(충격완충장치), 애플리케이션(APP) 연동 등 주행·사용편의 관련 보유기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전동킥보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의 정착을 위해서는 안전사고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

경제성·환경성을 갖춘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수단을 근거리 교통수단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정책이 확대됨에 따라 관련 제품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도 안전한 운전습관을 갖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제성·환경성 갖춘 전동킥보드는 에너지소비효율(연비)을 이용해 에너지비용과 CO2 배출량을 환산하는 경우(100 km 주행기준), 시험대상 6개 제품의 평균 에너지비용은 약 232원, CO2 배출량은 약 0.616 kg으로 내연기관 이륜차(6,661원, 9.60 kg) 보다 경제적이고 CO2 배출량도 적었다.

전동킥보드는 구조적으로 바퀴가 작고 무게중심이 높아 주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보호 장구 착용, 노면 장애물 확인, 저속운전 등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