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일 근무 시대…“소득이냐, 워라벨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주 4일 근무 시대…“소득이냐, 워라벨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차미경
  • 승인 2022.09.08 1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명 중 7명 ‘주 4일제 도입 찬성’…"연봉 낮더라도 워라밸 중요"
현실적으로 시행 가능성 낮다는 우려도 높아…임금 삭감, 업무량 걱정
자료=트렌드모니터
자료=트렌드모니터

모든 직장인의 이상(理想)인 ‘주 4일근무 시대’에 대해 직장인들 대다수가 ‘워라벨’에 대한 기대를 보이면서도 임금삭감과 부담되는 업무량에 대해서는 걱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직장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주 4일제 도입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워라밸’에 대한 높은 선호를 바탕으로 주 4일제 도입을 기대하는 직장인들이 많은 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대다수 직장인들이 여전히 워라밸을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는데, 특히 저연령층 응답자일수록 워라밸에 대한 선호(20대 66.4%, 30대 70.0%, 40대 61.6%, 50대 64.4%)가 더 높은 특징을 보였다.

이들의 경우 직장 내에서의 인정보다 개인의 삶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20대 71.2%, 30대 72.4%, 40대 63.2%, 50대 64.4%)도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다른 세대보다 일과 삶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향이 더 뚜렷하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다만, 현 직장에서 워라밸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응답은 이전 조사와 유사하게 여전히 저평가되고(48.9%(2021) → 45.9%(2022)) 대기업(53.9%)과 국가/공공기관(53.8%)에 다니는 직장인보다 중소기업(42.0%) 재직자의 워라밸에 대한 기대치가 더 낮게 평가된 점인데, 이는 기업 역량에 따라 워라밸 가능 여부도 달라지는 현실적인 모습을 확인해볼 수 있는 결과였다.

68.2%, “주 4일제 도입 찬성”
임금 삭감, 워라밸 측면에 대한 우려도

주 4일제 도입과 관련해선 찬성 의견이 더 우세한 것(68.3%)으로 나타났다. 먼저, 주 4일제 도입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임금 삭감에 대한 우려(53.4%, 중복응답)가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 주 4일제가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업무량엔 큰 변화가 없을 것(49.3%) 같고 오히려 업무 강도만 더 높아질 것 같다는(43.2%) 회의적인 시선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특정 업종에만 도입돼 형평성 문제(36.3%, 중복응답)가 발생하거나 주 4일제를 시행하지 않는 거래처 등과 업무를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30.4%)는 우려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주 4일제 도입에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개인 시간 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 4일제가 도입되면 개인 여가 시간이 늘어날 것 같고(63.0%, 중복응답) 워라밸 실현(57.9%)이 가능해질 것 같으며, 가족 및 주변인과의 시간(52.6%)이나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시간(47.8%)이 늘어날 것 같다는 응답이 많았다.

실제로 주 4일제가 시행된다면 ‘단순 휴식’을 취하고 싶다는 응답(49.3%(2021) → 50.2%(2022))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현대인들의 쉼에 대한 니즈가 크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자료=트렌드모니터
자료=트렌드모니터

한편, 주 4일제 도입으로 인한 ‘업무 수준’ 및 ‘업무 강도’ 등의 변화는 어느 정도 수용할 의지가 있다는 응답이 많은 편이었다. 야근(충분히 감수 35.8%, 어느 정도 감수 51.6%)이나 업무 강도(충분히 감수 35.8%, 어느 정도 감수 51.6%)가 증가하거나 업무 보고 절차의 복잡화(충분히 감수 21.3%, 어느 정도 감수 51.3%) 등은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는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주 4일제 때문에 임금이 삭감(43.3%)되거나 업무 시간이 크게 늘어나는 경우(35.9%)라면 감수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주 4일제 도입 논의가 전 세계적 이슈라는 점에 대해선 공감대가 나타나고 있었다. 최근 주 4일제를 검토하는 국가들이 많아진 것(54.5%(2021) → 62.2%(2022)) 같고, 주 4일제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들이 많아지는 것 같다(34.0%(2021) → 43.9%(2022))는 응답이 이전 조사보다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주 4일제 시행 여부가 직장 선택의 중요한 기준(57.1%, 동의율)이 되거나 주 4일제를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많아질 것 같다(45.5%)는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주 4일제의 현실적인 시행 가능성에 대해선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아 보였다.

한국 사회에서 주 4일제가 실질적으로 도입(49.0%(2021) → 52.5%(2022))되거나 시행될 가능성(42.1%(2021) → 44.5%(2022))은 낮아 보인다는 응답과 함께, 아직은 주 4일제 논의 자체가 시기상조인 것 같다는 인식(32.4%(2021) → 36.8%(2022))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 4일제 도입 필요성에 공감하는 사람들(58.1%(2021) → 59.8%(2022))이 많아지긴 했지만, 향후 실제로 시행하는 기업은 많지 않을 것 같다는 응답(61.8%, 동의율)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국 주 4일제에 대한 논의는 점차 단계적으로 시행될 필요(65.7%, 동의율)가 있고, 각 기업 등에서의 시범 운영(64.9%)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많은 편이었다.

또한 재택근무 등의 유연근무제를 확대(42.6%(2021) → 46.4%(2022))하거나 휴가 일수를 늘려주는 게 더 나은 대안이라는 응답(38.2%(2021) → 42.0%(2022)) 등을 통해 현재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인식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앞으로 주 4일제 논의에 앞서 근로 시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71.7%, 중복응답) 및 제도에 대한 임직원 공감대(44.9%) 등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는 점을 읽어볼 수 있는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