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고립·은둔 청년 지원 움직임 활발
일도, 취업준비도 하지 않고 3년 이상 쉰 청년이 8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 학교를 졸업하고도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간 가장 많은 수치다.
이들 중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34.2%에 해당하는 8만2000명에 달한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은 취업시험 준비나 직업훈련,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의미다.
이어 ▲취업 준비를 했다(28.9%, 6만9000명) ▲육아·가사를 했다(14.8%, 3만5000명) ▲진학 준비를 했다(4.6%, 1만1000명) 등의 순이었다.
미취업 기간별로 보면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의 비중은 3년 이상일 때 가장 컸다. ‘그냥 쉬었다’는 응답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0.5%였으나 3년 이상일 때 34.2%로 상승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반면 ‘취업을 위한 활동을 했다’는 응답은 6개월~1년 미만일 때 54.9%에 이르렀지만, 3년 이상에서 34.2%로 하락했다. 여기서 ‘취업을 위한 활동’이란 구직활동과 직업훈련, 취업 시험 준비 등을 위해 도서관·학원에 다니는 비율 등을 모두 합한 것이다.
취업을 원하고 할 수 있지만 월급 등 조건에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청년 구직 단념자’도 증가하는 추세다.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올해 12만179명으로 전년 동기(10만8525명)보다 크게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에 달한다.
청년 고립, 사회적 손실 부른다
정부·지자체, 고립·은둔 해결 위해 나서
한편 청년재단의 ‘청년 고립의 사회적 비용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고립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최소 7조원에 이른다.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을 기준으로 산정된 결과로, 현재를 기준으로 하면 더욱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청년들의 고립·은둔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도 해결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고립·은둔청년 대상 상시 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자가진단시스템을 마련하는 한편 ‘청년성장 프로젝트’(가칭)를 신설해 고립·은둔청년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근 한덕수 국무총리는 청년의 날 기념식에서 고립·은둔청년, 가족돌봄청년들을 위한 전담지원기관을 확대해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자체도 고립·은둔 청년 발굴 및 지원에 한창이다. 17개 시·도 광역의원회는 고립·은둔청년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 최근 광주시는 은둥청년의 일본 사회복기 연수 참여를 지원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전담 기관 ‘서울 청년기지개 센터’를 개관했다. 청년의 사회적 고립척도를 진단해 50개 이상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5년 이상 중장기 추적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최적의 회복플랜 설계 및 재발 예방을 돕는 것이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