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가정용 정수기 물에서 '대장균 검출'...주기적 코크 소독해야
일부 가정용 정수기 물에서 '대장균 검출'...주기적 코크 소독해야
  • 임은주
  • 승인 2020.10.13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년간 위생관리를 하지 않은 가구의 위생상태(사진=소비자원)
4년간 위생관리를 하지 않은 가구의 위생상태(사진=소비자원)

일부 가정용 정수기 물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돼, 코크(취수 부분) 소독을 비롯해 주기적으로 위생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전해졌다.

13일 한국소비자원은 가정용 정수기 수질에 대한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가정집의 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아파트 40가구를 대상으로 정수기 물의 일반세균·총대장균군·진균·pH 검사를 한 결과 직수형·자가관리 정수기를 사용하는 1곳에서 총대장균군이 검출됐다.

대장균군은 사람이나 포유류의 장 내에 기생하는 세균이다. 병원성 대장균은 식중독과 설사, 출혈성 대장염 등을 유발하고 사망까지 일으킬 수 있다.

조사 대상 정수기 물의 평균 일반 세균 수치는 1㎖당 257CFU 수준이었다. CFU는 균 수를 측정하는 단위로, 독자적으로 번식할 수 있는 세포 군락 수를 의미한다.

현행법상 정수기 관련 일반 세균 기준은 없지만, '먹는 물 수질 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른 식수용 수돗물 기준은 100CFU/㎖ 이하다. 

진균(곰팡이)은 0~4CFU/㎖ 수준으로 검출됐으나 '대한민국약전'에서 밀·옥수수 전분, 꿀 등에 관해 규정한 기준(100CFU/g 이하)과 비교하면 안전한 수치다. pH도 6.7~7.8로 식수용 수돗물 기준(5.8~8.5) 이내였다.

정수기 코크(취수부)를 에탄올로 살균 소독한 후 재실험하자 소독 전에 검출됐던 대장균군은 사라졌다. 에탄올 소독 후 일반 세균 수치는 소독 전보다 50.8% 감소한 126CFU/㎖로 나타났다. 진균은 0~3CFU/㎖, pH는 6.7~7.9로 소독 전과 같이 기준에 적합했다.

(자료=소비자원)
(자료=소비자원)

특히 대장균군이 검출된 정수기는 지난 4년간 코크 관리를 한 번도 하지 않아 코크에 이물질이 묻어나는 등 위생이 불량했다. 하지만 코크 소독 후에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아, 코크 소독으로 위생 관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원이 이번에 조사한 40가구 중 평소에도 코크 위생을 관리하는 가구는 3가구(7.5%)에 그쳤다. 대부분의 가구는 렌탈 업체의 청소 서비스에 위생관리를 위임하고 별도의 관리를 하지 않았다.

소비자원은 "가정용 정수기의 위생관리 주체는 소비자"라며 "렌탈 업체의 청소 서비스와 상관없이 소비자 스스로 정수기 주변부와 코크의 위생을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수기 판매·대여 업체 13곳에 코크 소독을 렌털 관리 서비스에 포함할 것을 권고했고, 해당 업체들은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

13개 업체는 LG전자, SK매직, 교원, 바디프랜드, 원봉, 위닉스, 청호나이스, 코웨이, 쿠쿠, 한국암웨이, 현대렌탈서비스, 현대렌탈케어, 피코그램 등이다.

한편, 국내에는 약 600만대 이상의 정수기가 보급되어 있으며 연간 판매량은 약 200만대다. 2018년 12월말 기준 정수기 제조·수입판매업체는 총 240개소, 시장규모는 약 2조5000억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