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궁금] 조선시대에는 전염병을 어떻게 대처했을까
[그것이 궁금] 조선시대에는 전염병을 어떻게 대처했을까
  • 전소현
  • 승인 2020.11.03 0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년 우리의 일상에 가까워진 단어 중 하나는 바로 '팬데믹 (pandemic)'이다.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말로 세계보건기구 WHO가 전염병의 경보단계를 6단계까지 나눈 것 중에서 최고 경고 단계다. 그리스어로 'pan'은 '모두', 'demic'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전염병이 전파돼 모든 사람이 감염됐다는 뜻이다. 

마스크 쓴 사람들의 얼굴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새로운 일상이 된 가운데, 과거 우리 조상들은 이런 전염병에 어떻게 대처했는지 알아보았다.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질병관리청 = 활인서와 혜민서
강제 격리가 최우선 대처

조선왕조실록 역병 조문(條文 : 규정이나 법령 따위에서 조목으로 나누어 적은 글)에 따르면 1392년부터 1864년까지 조선에 1400여 건의 역병이 있었다고 한다. 500년 조선 왕조 내내 수많은 역병이 있었다. 전염병이 발생하면 조선 시대 도성 내의 환자를 구하는 업무를 보던 활인서나 의약과 일반 서민의 치료를 맡던 혜민서를 통해 약제를 지급하도록 했다. 하지만 약값이 비싸고 구하기가 어려워 전염병에 걸리면 사람이 많지 않은 곳에 다니지 않는 것이 최우선이었다.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또한, 왕은 감염자들을 일정 지역으로 강제 격리해 전염병이 잦아들기를 바랐고, 하늘의 노여움이라고 생각해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전염병이 의심되는 사람을 무인도나 물속에 넣어 죽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치료보다 확산을 막기 위한 적극 거리두기로 전염병을 대처했다. 임진왜란이 있던 16세기 후반에는 전쟁과 함께 전염병 발생이 잦았다. 노인과 어린아이들 약자들이 많이 사망하며 나라가 안팎으로 혼란스러웠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 허준

1612년 관북지방에서 전염병이 발생해 전국으로 퍼지면서 광해군은 일찍이 자신의 두창(천연두)를 치료한 허준(1539~1615)을 불러 전염병만을 위한 별도의 응급처방 의서를 만들도록 했다. 허준이 당시 유행한 성홍열에 대해 관찰한 보고서(1613)는 동아시아 지역 최초 연구였다.

(사진=한국민족문학대백과사전)
(사진=한국민족문학대백과사전)

허준은 전염병의 원인과 해결을 백성들의 사회적 관계망에서 찾았다. 백성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와 생활 습관을 제시했다. 마늘 대파 부추 생강 염교 5가지 매운 음식을 먹으면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사람의 생기를 올려 면역력에 영향을 주는 음식을 권했다. 또한, 당시 백성들의 화장실과 우물이 가까운 곳에 있고 목욕을 잦게 하지 않는 관습을 보며 적체된 오물을 해결하고, 연고 없이 죽은 자를 위로하는 사회적 의례를 권하는 등 민간에서 방역하는 방안을 만들었다.

흔히 허준하면 동의보감 저술을 생각하지만, 허준은 전염병 관련 저서 편찬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 '신찬벽온방', '벽역신방', '언해두창집요' 등 기존의 의서들을 분석해 허준은 역병의 예방과 치료법에 관한 매뉴얼을 완성했고, 두창(천연두), 온역(티푸스질환), 성홍열 등 조선 시대의 전염병을 거의 다루었고 오늘날 홍역에 해당하는 새로운 질병을 발견해 최초 기록을 남겼다.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역병이 돌 땐 유교 시대에도 차례 중단

한국국학진흥원이 9월 15일 공개한 소장 일기자료 중 초간 권문해의 ’초간일기’(1592년 2월 15일자)에는 "역병이 번지기 시작해 차례를 행하지 못하니 몹시 미안했다"라며 전염병으로 인해 조상님들께 차례를 지내지 못한 송구스러운 내용이 있었다. 2020년 추석 언택트 명절을 권장한 것과 같이 조선시대에도 전염병이 퍼질 때는 차례와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그 외 안동 하회마을 류의목이 쓴 '하와일록'에서는 마마(천연두)가 극성으로 마을에서 논의해 제사를 지내지 않기로 했고, 안동 풍산의 김두흠도 '일록'에서 나라에 천연두가 창궐해 차례를 행하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다. 전염병 확산을 막는목적과 동시에 조상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차례는 청결한 상태에서 지내야 하는데 전염병으로 인해 환경이 오염돼 불결하다고 여겨 이러한 전통 풍습도 자제했다. 

단풍이 들고 가을 하늘이 높아지지만 자유로운 바깥 활동을 즐기기에는 아직이다. 많은 사람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피로감을 호소하는 가운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에 맞서는 가장 첫 번째는 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거리두기가 당연시된 일상이 지루할 수는 있으나, 모든 국민이 안전이라는 기본을 지킬 수 있도록 500년이 더 된 전염병 대처 방법을 새기면서 곧 되찾을 우리의 일상을 기대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