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 심화' 계층 이동 불가능 생각 크지만 욕구는 강해..중산층 기준으로 자산규모가 중요
'양극화 심화' 계층 이동 불가능 생각 크지만 욕구는 강해..중산층 기준으로 자산규모가 중요
  • 이주영
  • 승인 2021.05.26 1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체 10명 중 3명(29.3%)만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평가해, 자신을 '하류층'(42.5%)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다수(64.5%)가 중산층이 많아야 국민이 행복해진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나라가 중산층이 많은 나라라는 평가(18.6%)는 매우 적어 각박한 현실이 피부로 와닿았다.

(사진=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사진=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세~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중산층' 이미지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회전반적으로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고, 계층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중산층’은 한 사회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중심축이 되는 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중산층 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10명 중 3명(29.3%)만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식(15년 27%→17년 29.9%→21년 29.3%)이 수년 째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게 느껴진다.

 

오히려 자신이 하류층(42.5%)에 해당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많을 정도였다.

 

그만큼 자신의 사회적 계층 수준을 낮게 바라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스스로를 상류층(0.4%)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더욱 주목해볼 부분은 자신의 계층을 낮게 평가하는데 그치지 않고, 전반적으로 한국사회에는 중산층이 없다는 시선이 많다는 사실이었다. 우리나라는 중산층이 많은 나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단 18.6%에 그친 것이다. 

 

(사진=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대다수가 한국사회에서는 ‘중산층’의 기준이 경제적 능력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77.3%가 한국사회에서 중산층이라는 것은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사람이라는 뜻이라는 주장에 공감을 했으며, ‘내 집 마련’에 성공한 사람들이 중산층이라고 바라보는 시선도 10명 중 6명(61%)에 달했다.

 

현재 많은 서민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내 집 마련의 꿈은 꾸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상기해봤을 때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은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최근 우리나라의 중산층 기준이 예전보다 상향되었고(61.9%), 중산층으로 평가되는 사람들은 이미 중산층이 아닌 느낌이라는(54.5%) 목소리가 많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가 커 보인다. 그만큼 경제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중산층의 기준이 높아졌으며, 중산층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격차가 커진 것을 보다 쉽게 체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인지를 나누는 중요한 기준은
부동산을 포함한 ‘총 자산 규모’와 ‘현금 보유량’

(사진=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인지 아닌지를 나누는 중요한 기준으로는 부동산을 포함한 총 자산 규모(84.6%, 중복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현금 보유량(53.6%)이 중산층을 가르는 기준이라고 보는 시각도 상당히 많았다.

무엇보다 경제적 능력이 중산층의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2017년 동일 조사와 비교했을 때 직업(17년 29.3%→21년 48.6%)과 학력 및 학벌(17년 11.1%→21년 24%)이 중산층을 결정하는 기준이라는 인식이 강해진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었다.

직업과 학력이 계층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경향이 과거보다 더 커진 것으로, 한국사회의 ‘능력주의’가 오히려 더 심화되었다는 생각을 가능케 한다. 그 다음으로 사회적 인맥(14.9%)과 타인에 대한 태도(12.7%), 도덕 및 사회 규범에 대한 태도(11.9%)가 중산층의 기준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으나, 경제적 능력에 비해서는 중요한 기준이 아닌 듯 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중산층의 모습은 타인에 대한 태도에 철학이 있고(72.9%, 중복응답), 도덕적∙사회적 규범에 대한 자신의 관점이 있는(67.2%) 사람이었다. 또한 문화적 취향이 깊고 다양하며(35.6%), 정치와 사회 문제에 자신의 관점이 있는(28.8%) 사람이 이상적인 중산층이라고 보는 시선도 많았다.

 

반면 부동산을 포함한 총 자산이 많은 사람(17.4%)이 중산층이라는 시각은 적은 편으로, 현재 한국사회에서 받아들여지는 중산층의 기준이 너무 ‘경제적 조건’에 맞춰져 있다는 생각을 해볼 수 있었다.

 

하지만 한국사회에서 중산층이라는 것은 도덕적이고, 높은 교양과 상식, 배려를 갖춘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동의율, 전체 23.8%)이 드문 것이 현실이다.


계층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현저하게 낮아
44% “현재보다 나은 상태로의 계층 이동 불가능”

(사진=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현재 우리나라에 일반 서민들이 중산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14.9% 에 불과했다. 연령대(20대 16%, 30대 17.6%, 40대 13.6%, 50대 12.4%)와 자가계층평가(중상층 이상 23.1%, 중간층 20.8%, 중하층 11.5%, 하층 9.9%)에 관계 없이 한국사회는 중산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아니더라도 우리사회의 중산층은 앞으로 더욱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53.1%에 달했다. 반면 한번 가난해지면 평생 가난하게 살아야 하고(44.9%), 현재보다 나은 상태로의 계층 이동이 불가능하다(44%)는 인식이 결코 적지 않았다.

그만큼 ‘계층 이동’의 가능성이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우리나라는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는 나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24%)도 드물었다.

 

개인의 노력과 의지만으로는 계층상승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자신의 계층을 낮게 평가할수록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중상층 이상 44.2%, 중간층 28.7%, 중하층 21.3%, 하층 14.8%)이 현저하게 낮은 분위기가 역력해 보인다. 전체 절반 이상(56.4%)이 공감하는 것처럼 중산층이 늘어나지 않는 것은 그만큼 한국사회가 공정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당연하다고 볼 수 있었다.

 

물론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계층 상승’의 욕구는 강했다. 대다수가 상류층으로(61.3%), 그리고 중산층으로(58.1%) 살고 싶은 욕구를 숨기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계층 상승이 어렵고, 그러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현실에 대한 분노가 클 수밖에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