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韓銀에 ‘경제성장용’ 통화정책 주문
경제전문가, 韓銀에 ‘경제성장용’ 통화정책 주문
  • 김유현 기자
  • 승인 2014.03.10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경제전문가들이 차기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 내정자에게 "올해 통화정책 기준으로 전통적 가치인 '물가안정'에 앞서 '경제활성화'를 택해달라"고 당부했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민간ㆍ국책연구소, 학계 및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차기 한국은행 총재의 역할 △상반기 기준금리 정책 방향 △미국 양적완화 종료시점 전망 △대ㆍ내외 경제정책 방향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 차기 한국은행 총재로 내정된 이주열 전 한은 부총재 ©뉴시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9.1%가 차기 한국은행 총장이 주안점을 둬야 할 통화정책 방향으로 '경세정상률 제고'를 꼽았다.

전통적 중앙은행 역할인 '물가안정(31.8%)'의 두 배 가량이다. '외환부문 안정을 위한 국제공조 강화(9.1%)'는 그 뒤를 이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5%가 올 상반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5%로 동결해야 한다고 답했다.

상반기 중 인하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25%, 인상 주장은 12.5%에 불과했다.

미국의 양적완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는 미국 경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감의 고저에 따라 엇갈렸다.

미국 고용지표의 개선이나 실물경기 회복세에 대해 낙관한 응답자(48.5%)는 올 하반기 양적완화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미국 경기 회복세에 부정적 견해를 보인 응답자(39.4%)는 양적완화 종료시점을 2015년 상반기로 전망했다.

아울러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들은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발 경제 불안이 국내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전문가 4명 중 3명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조치나 그 여파로 나타난 신흥국발 경제 불안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75.8%)'일 것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경상수지 흑자 구조와 외환보유비율 등 '신흥국과의 차별성(96%)'을 그 이유로 꼽았다.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24.2%)으로 보는 응답자들은 신흥국 수출감소(62.5%), 환율의 급격한 변동성 확대(25%) 등을 이유로 들었다.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대외불안 해소를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사안으로 최근 한ㆍ호주 간 5조 원 상당의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처럼 '원화가치 안정을 위한 안전장치 마련(36.4%)'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어 '내수 위주 산업구조로의 신속한 전환(30.3%)', '외국인 국내 투자자금의 급격한 이탈 방지 노력(21.2%)', '신흥시장 수출확대 노력(12.1%)' 순으로 답했다.

한편, 전경련 경제정책 관계자는 "대외적으로 미국, EU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세가 중국의 저성장 기조나 신흥국발 경제 불안과 혼재된 상황"이라며 "이런 불확실한 대외경제 상황에서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경제 활성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