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이코노미] 공공에서도 관심 갖는 반려동물 산업, 올바른 사육문화 필요
[솔로이코노미] 공공에서도 관심 갖는 반려동물 산업, 올바른 사육문화 필요
  • 이용진 기자
  • 승인 2017.03.06 2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4년 17.4%였던 반려동물 보유가구가 2016년 20.4%로 증가했으며, 관련 산업은 연 1조2000억원 규모로 성장했고 2020년까지 3~4배 성장한다는 것이 전문가의 예측이다.

이런 가운데, 1인가구 관련 정책에 앞장 서고 있는 서울시는 반련동물 관련 정책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날수록 유기행위가 증가하고 이에 대한 행정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자치구는 대부분 행정인력 1명이 모든 업무를 관장하고 있는 상황이고, 서울시도 동물분양센터 1개소와 반려동물놀이터 3개소 등이 시설의 전부이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시의 반려동물 보유가구 비율은 지난 10년 동안 17~23% 수준에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절반 이상이 지인 통해 반려동물을 입양하고 있어 사육정보에 대해 지식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51.7%가 아는 사람에게서 반려동물을 입양받았다.

▲ 반려동물 보유실태 및 동물보호 정책수요 ⓒ서울연구원

이에 대해 서울연구원은 반려동물 보유가구 비율이 28.8%까지 증가할 것을 예상하며 공공영역 열할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했다.

특히 반려동물 보유실태 및 동물보호 정책수요 조사(2567 가구)에 의하면 사육지식을 습득하지 않는 반려동물 보유자는 24%이며, 유기충동을 경험한 사람도 42.6%에 달해 동물학대 우려도 있는 상황이다.

이 조사에서는 동물복지 증진을 위해 정부나 지자체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60%나 제시했으며, 조사 대상 93%가 외국과 같은 동물복지시설 운영에 찬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시민들이 원하는 동물복지시설 핵심 업무로는 예방접종 및 동물치료(59%, 중복응답)가 가장 많았고 기본소양에 대한 정보 제공(43%), 동물 구조나 인수(42%)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반려동물센터 운영은 자치구, 민간단체, 관련업종 등이 각자 역할을 수행하는 세심한 설계와 단계적 접근이 바람직하다는 시각이다.

우선 서울연구원은 사육포기동물 인수, 보호동물 입양, 교육, 연구개발, 상담 등의 업무는 서울시가 담당하고 민간단체들은 협력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또한 이미 시장에 형성된 동물병원, 동물호텔, 장례업 등의 기능은 시장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시설 확충 계획도 제시했다. 시민들이 접근하기 편하도록 서울 서북권+도심권, 동북권, 서남권, 동남권 1개소씩 최대 4개소를 확보하고 일본 도쿄 동물애호센터를 착안해 1000㎡ 이내 건물공간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1차 사업지는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양천구, 강서구로 구성된 서남생활권이 적절한 것으로 보고 있다. 4개 권역 중 2015년 기준으로 서울 전체 32%의 유기동물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반려동물 산업은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연 1조1000억원 수준이며, 사료 및 관련용품(3849억원), 수의업(6551억원), 반료동물 장묘·보호 서비스업(338억원) 등이 차지하고 있다.

(데일리팝=이용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