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기업 84% '회계처리 기준' 필요 ...R&D비용 '자산처리? 비용처리?'
바이오기업 84% '회계처리 기준' 필요 ...R&D비용 '자산처리? 비용처리?'
  • 임은주
  • 승인 2018.05.31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게티이미지뱅크)
(자료=게티이미지뱅크)

국내 바이오 회기업들이 연구개발(R&D) 비용의 회계 처리 이슈로 혼선을 빚으면서, 기업들 입에서 명확한 회계처리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연구개발비의 자산화 비중이 높은 바이오·제약사 10곳에 대해 회계감리를 예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적 감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차바이오텍 등 10곳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개발비를 무형자산과 비용 가운데 어느 쪽으로 처리하느냐에 따라 영업이익이 크게 달라지고 개발비가 상황에 따라 손실로 처리돼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고 금감원은 판단했다.
 
실제 그동안 일부 바이오 기업들은 연구개발(R&D)에 들어간 돈을 비용이 아닌 무형자산으로 처리해 왔다. 바이오의 경우 다른 업종에 비해 R&D 비용의 규모가 매우 커 이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기업의 이익 규모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는 '기술적 실현 가능성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개발비를 무형자산으로 처리한다'고 규정돼 있다. 따라서 R&D 비용을 어떻게 처리할지는 기업의 자율에 맡긴다는 것이다. 따라서 분식회계 등 회계부정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바이오업계에 대한 회계처리방식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업계는 R&D비용의 자산화 혼선에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5월 9일부터 약 2주간 회원사 26개 기업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63.6%가 R&D 비용을 자산으로 반영했고, 나머지 36.4%는 전액 비용으로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자산화비율이 51~100%라고 답한 기업은 13.6%, 31~50% 사이라고 답한 곳은 22.7%, 30% 미만이라고 답한 기업은 27.3%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협회 설문 결과, R&D 자산화 기준 등 바이오기업의 명확한 회계처리 기준이 필요하다는 데 84%가 공감했다. 특히 바이오신약 분야에서 90.9%의 높은 찬성률을 나타내며 바이오신약 분야에 대한 회계기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사됐다.

다만 R&D 단계에 따른 자산화 기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신약 등의 개발 성공 가능성이 높으면 R&D 비용을 자산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성공 가능성을 가늠하는 단계에 대한 의견은 달랐다.

임상 1상 개시와 임상 3상 개시 때 R&D 비용을 자산 처리해야 한다는 응답이 21.7% , 임상 2상 개시 때가 17.4%, 임상 2상 완료 8.7%, 품목허가 완료 후 8.7%, 임상 3상 완료 후가 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업계는 개발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분야로 회계처리는 일률적인 기준보다는 산업적 특수성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편 바이오업계는 금감원의 조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만약 금감원의 감리 결과 고의적인 분식회계라고 인정되면 최악의 경우 거래정지나 상장폐지와 같은 초유의 사태도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데일리팝=임은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