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겨울철 가족끼리 둘러앉아 김장을 하던 과거의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김장을 하는 소비자들은 줄어들고 포장 김치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
직접 김장한 비율 현황
2003년 74% → 2017년 65.3% → 2018년 64.9%
포장 김치 구매 비율 현황
2017년 13.1% → 2018년 15.8%
※자료: 한국농촌경제원의 '2018년 김장의향 소비자 조사결과'
2017년 13.1% → 2018년 15.8%
※자료: 한국농촌경제원의 '2018년 김장의향 소비자 조사결과'
연도별 김치 매출 현황
2013년 1528억 4900만 원
2014년 1411억 5500만 원
2015년 1439억 6600만 원
2016년 1843억 3500만 원
2017년 2102억 4800만 원
2013년 1528억 4900만 원
2014년 1411억 5500만 원
2015년 1439억 6600만 원
2016년 1843억 3500만 원
2017년 2102억 4800만 원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포장 김치의 시장 규모는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 1530억 가량을 웃돌던 김치 시장은 2017년 약 2100억 규모까지 성장
→약 37.5% 증가했다!
→약 37.5% 증가했다!
30년 전통과 10년간의 매니아층 확보한 '대상'
2018년 3분기 김치 브랜드별 매출액
대상 440억 2500만 원
CJ제일제당 332억 3100만 원
스토아 브랜드 47억 4400만 원
신세계푸드 14억 8300만 원
동원 F&B 13억 1800만 원
한울농산 12억 5200만 원
풀무원 11억 7900만 원
대상 440억 2500만 원
CJ제일제당 332억 3100만 원
스토아 브랜드 47억 4400만 원
신세계푸드 14억 8300만 원
동원 F&B 13억 1800만 원
한울농산 12억 5200만 원
풀무원 11억 7900만 원
1987년 처음으로 등장하며
2000년대부터 10년 넘게 1위 자리를 지켜온 대상의 '종가집 김치' 그 뒤를 CJ제일제당이 바짝 뒤쫓고 있었다.
유일한 1인자였던 대상, 1위 유지할 수 있을까?
2013년 3분기
대상 FNF 330억 600만 원
CJ제일제당 41억 7000만 원
↓
2018년 3분기
대상 440억 2500만 원
CJ제일제당 332억 3100만 원
전체 김치 시장 중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유지하던 대상
최근에도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점유율의 상당 부분을 CJ제일제당에게 빼앗긴 모습이었다.
CJ제일제당, 소비자에게 사랑 받는 이유?
CJ제일제당 김치 연혁
2000년 첫 김치 브랜드인 '햇김치' 론칭
↓
2006년 '하선정 종합식품' 인수
↓
2016년 '비비고' 김치 출시
2000년 첫 김치 브랜드인 '햇김치' 론칭
↓
2006년 '하선정 종합식품' 인수
↓
2016년 '비비고' 김치 출시
수 년간 점유율 10%대에 그치던 CJ제일제당의 김치 시장 이후 가정간편식의 노하우를 담은 비비고 김치를 출시하며 대상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좋은 재료와 계속되는 연구를 거듭한 노력으로 CJ제일제당의 비비고 김치는 판도를 바꾸고 있다.
(데일리팝=이예리 기자, 이지연 디자이너)
(자료=FIS 식품산업통계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저작권자 © 데일리팝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