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보관함에 돈 넣어 두세요" 물품보관함 이용한 돈 거래 꾸준히 발생 '보이스피싱 의심 또 의심'
"지하철 보관함에 돈 넣어 두세요" 물품보관함 이용한 돈 거래 꾸준히 발생 '보이스피싱 의심 또 의심'
  • 오정희
  • 승인 2022.02.17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하철 물품보관함에 돈을 맡겨두라고 하면 하시겠습니까?"

-2021년 7월 8일 오전 10시 30분 경, 2호선 방배역에서 한 할머니가 역사 내 물품보관함에 돈 1,000만원이 든 보따리를 맡기려 하는 모습이 목격됐다. 

-2019년 3월 7일 오후 4시 32분 경, 2호선 합정역에서 보이스피싱 사기단의 말에 속아넘어간 피해자가 역 물품보관함에 4,500만 원을 보관했다.

-2019년 2월 27일 오후 6시 경, 7호선 보라매역에서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물품보관함에 현금을 넣은 후 불안한 마음에 경찰에 이를 알렸다. 경찰은 역 직원에게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니 현장을 확인해달라고 요청했다. 직원은 요청을 받아 현장을 살펴본 후 허가를 받아 사기단이 가져가기 전에 회수, 피해자의 돈을 무사히 지켰다.  

-2022년 1월 19일 오후 6시 10분 경. 5호선 영등포구청역을 이용하던 승객이 전화 통화 중 딸이 납치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너무 놀라 털썩 주저앉았다. 바로 옆 안내소에서 근무 중이던 직원에게 이 사실을 알리자, 직원은 침착하게 승객을 안심시키고 자신의 핸드폰으로 승객의 딸에게 전화를 걸어 딸이 아무 일 없이 무사하다는 것을 알렸다. 승객은 이후 고객안전실에서 안정을 취하다 경찰의 보호를 받아 무사히 귀가할 수 있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이러한 지하철 시설물을 이용한 보이스피싱이 매년 1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은 스마트폰, 일반전화 등 통신매체를 이용해 타인의 금품을 갈취하는 등 피해를 입히는 사기 수법을 의미한다. 

하루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서울 지하철의 특성 상, 지하철이 보이스피싱을 이용한 금전을 주고받는 매개체로 활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지하철 내 범죄를 수사하는 서울지하철경찰대의 집계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지하철을 이용한 보이스피싱은 2019년 14건, 2020년 10건, 2021년 12건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을 이용한 보이스피싱의 경우 물품보관함을 이용한 금전 거래가 대표적이다. 무인으로 이용할 수 있고 보관 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알면 곧바로 물품을 수령할 수 있는 보관함의 특성 상, 피해자를 위협하거나 구슬려 돈을 사물함에 넣도록 유도한 후 사기단이 이를 추후에 가져가는 식이다.

보관함 사용방법을 역 직원에게 문의하거나 불안한 기색을 보이는 경우, 시민이나 직원이 긴급한 상황임을 감지하고 기지를 발휘해 상황을 알린 후 경찰을 호출해 피해를 사전에 막은 사례가 다수 있었다. 

지하철 내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는 무엇보다 ‘지하철 내에 돈을 맡기거나 거래하는 것은 수상한 범죄와 직결되어 있다’라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공사 관계자는 전했다. 특히 물품보관함은 절대 금전 거래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니, 여기에 돈을 넣으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무조건 범죄로 의심할 필요가 있다.

상황이 아무리 혼란스럽더라도 역 직원 등 지하철 관계자나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들이 사전에 불안한 기색을 감지하고 먼저 도울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상황 파악이 되어야 어떻게 도울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사는 보이스피싱을 포함한 지하철 내 범죄 근절을 위해 보안관 순찰시간 확대, 범죄다발구간 보안관 집중 배치와 더불어 불법촬영 예방을 위한 안심거울 설치 등 경찰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