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알아 두면 좋은 혜택 및 팁 총정리
설 명절 알아 두면 좋은 혜택 및 팁 총정리
  • 이은진
  • 승인 2024.02.05 17: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9일부터 설 명절이 시작된다. 이번 설 연휴는 2월 12일 대체 휴일을 포함한 나흘이다. 설 명절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부터 유기동물 구조 팁까지, 알아 두면 좋은 혜택들을 총정리 해봤다.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2월 9일(금) 0시부터 12일(월) 24시 사이 민자고속도로를 포함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모든 차량은 통행료가 면제된다.

이용 방법은 평상시와 동일하다. 일반차로는 통행권을 뽑은 다음 도착 요금소에서 제출하면 된다.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하는 차량은 단말기에 카드를 넣고 전원을 켜둔 상태로 그대로 요금소를 통과하면 된다.

 

휴일·심야 약국병원 찾기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설 연휴에 혼자 아프거나 가족이 아프다면 운영하는 병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당황스럽다. 그럴 땐 포털사이트에 ‘응급의료포털’을 검색한 후 운영 중인 병원·약국 또는 응급실을 찾을 수 있다.

내 위치를 입력하면 내가 있는 곳과 가까운 병원과 응급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현재 진료 가능 여부와 함께 응급실, 입원실 운영 여부도 함께 나온다. 약국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목록을 볼 수 있으며, ‘심야운영약국 목록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22시 이후에 운영하는 전국의 약국 목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응급의료포털’ 외에도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응급의료정보재공’ 앱도 있다. 포털과 동일하게 휴일 및 심야에 운영하는 약국과 병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숙박 할인 쿠폰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가 올해도 돌아온다. ‘2024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에서는 7일(수) 오전 10시부터 25일(일)까지 숙박권을 할인 판매한다.

입실 기간은 발급 기간과 동일하며, 수도권 지역이 아닌 비수도권 지역에 한해 진행된다. 야놀자, 여기어때, 지마켓 등 3개 채널에서 예약할 수 있다.

기간 내 1인 1매의 구매 제한이 있다. 5만원을 초과하는 숙박 상품을 예약한 경우 3만원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등 구매 혜택도 있으니 설 연휴 또는 2월 국내 여행을 계획 중인 사람이라면 참고하자.

 

농축수산물 최대 60% 할인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정부가 설 성수기 농축산물 수급 안정을 위해 1월 18일부터 농축수산물을 최대 60%까지 할인하는 대책을 마련했다. 2월 8일(토)까지 소고기 등 성수품을 포함한 수산물, 과일을 할인 판매하며 업체 추가 할인 혜택을 받는다면 최대 60%까지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오프라인, 온라인, 전통시장에서 모두 진행되며 온라인에서는 마켓 컬리, 11번가, 우체국 쇼핑 등 다양한 플랫폼이 참여한다.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해 구매하면 최대 200만원까지 5~10%를 할인해 준다. 또한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할 경우 최대 2만원까지 환급해준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농축산물 할인 지원 누리집, 수산물은 대한민국 수산대전 누리집에서 할인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

 

유실·유기동물 구조팀 운영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농림축산식품부와 전국지방자치단체가 설 연휴에 유실되거나 유기되는 동물을 구조하기 위해 동물보호센터와 연계해 구조팀을 운영한다.

만약 설 연휴 기간 동안 인근 지역을 떠돌아다니는 유실·유기동물을 발견하면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누리집에 접속해 누리집 우측의 ‘동물 발견’이라는 배너를 눌러 신고하면 된다. 발견 장소, 동물의 종류 등을 함께 기입한다. 이는 지자체 구조 담당자에게 문자로 자동 전송된다.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의 ‘동물 분실’ 배너를 눌러 동물의 사진, 잃어버린 장소 등을 게시물로 작성하면 된다.

또 정부에서는 설 연휴 기간 동안 ‘응급 동물병원’을 운영한다. 농림축산식품부 누리집 및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서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약 450개 동물병원이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