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긱 워킹 선순환 위해선 'AI 문해력' 중요해
'AI 시대' 긱 워킹 선순환 위해선 'AI 문해력' 중요해
  • 오정희
  • 승인 2024.03.07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ettyimagebank
ⓒgettyimagebank

최근 영국의 BBC 뉴스는 원격 근무 시대를 상징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디지털 노마드'라는 단어를 선정했다. 

다만 미국 컨설팅 기업 MBO파트너스가 발표한 2022년 보고서를 인용하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 미국의 디지털 노마드 수는 131%라는 성장세를 기록했지만, 모든 이들이 그러한 긱 워킹의 선순환을 누릴 수 있는 건 아니다"라고 전했다.

서울대학교 유기윤 교수 연구팀이 앞서 2017년도에 발간한 '미래사회보고서'에서는 "사회의 부는 현재보다 더 늘어날 수 있겠지만, 0.003%의 IT 플랫폼 소유주와 메가 인플루언서와 같은 플랫폼 스타가 모든 부를 독점하고 99.997%의 평범한 시민들은 단순 노동에 종사하는 임시 계약직 '프레카리아트(Precariat)'로 전락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그렇다면 AI는 정말 우리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해줄 수 있을까?

먼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월 고용 동향을 보면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6.0%로 전년 같은 달 대비 0.1%p 상승했다. 취업자는 비록 2,774만 3000명을 기록, 전년 같은 달 대비 38만 명이 늘어나긴 했지만, 자세한 취업자 수로 들어가면 상황은 또 반전된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서 청년 취업자만 놓고 보면 8만 5000명이 감소한 데다, 전체 취업자를 기준으로 정규직 근로자가 전년 동월 대비 1.8%가 늘긴 했지만, 임시직·일용직과 같이 안정적이지 못한 '비정규직' 근로자 각각 이보다 더 많은 2.0%, 3.3%가 더 많아졌다.

그러나 이런 상황은 AI 로봇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에서 점점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의 노동을 인간이 아닌 AI가 대체하게 되며, 이들이 '인공지성'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인격으로 노동시장에 등장, 하나의 사회 계급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말이다.

유 교수는 이에 대해 "자기가 갖고 있는 지식만이 자신을 먹여살리는 사회가 될 것이다. 항상 내년이면 다른 직장을 찾아야 한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더는 사회나 조직, 제도가 개인의 지위를 영속적으로 보장해주지 않을 것이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신이 가치 있는 인간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입증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라며, "AI는 이미 평균적인 사람의 학습능력을 넘어섰다"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삭막한 상황을 타개할 대안은 과연 없을까. 

유 교수는 맨 먼저 개인 차원에서 책을 꾸준히 읽는 것을 권했다. 요약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보는 게 아닌, 활자를 봐야 한다고 강조하며, 그는 개인으로서는 계속 학습하고, 새로운 트렌드나 이슈에 늘 깨어 있어야 하고, 그 능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꾸준히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AI 문해력'이 굉장히 중요해질 것이라고도 예견했다.

AI 구축 역시 '감성'을 인간과 나누고 소통할 수 있는 '따뜻한 AI'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유 교수는 설명했다. 이를 통해 인간과 로봇이 정서적으로 교감할 수 있게 된다면, 이러한 초양극화 사회는 결코 우리 사회에 두려운 미래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