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돌 맞은 '6ㆍ10 민주항쟁'…노무현 전 대통령 때 국가기념일로 지정
27돌 맞은 '6ㆍ10 민주항쟁'…노무현 전 대통령 때 국가기념일로 지정
  • 김민주 기자
  • 승인 2014.06.10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군부독재에 맞서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내고 '반독재 민주화'의 상징으로 알려진 6ㆍ10 민주항쟁이 오늘로 27돌을 맞았다.

6ㆍ10 민주항쟁은 한국 근ㆍ현대사에서 '4ㆍ19 혁명', '5ㆍ18 광주민주항쟁'과 더불어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평가 받는다.

1987년 6월 10일 일어난 민주항쟁에 앞서 전두환(당시 보안사령관)과 노태우(당시 9사단장)를 위시한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는 군사반란을 일으켜 정권 쟁취에 성공했다.

1979년 12월 12일, 이른바 12ㆍ12사태다. 이후 정권을 잡아 제5공화국(1980~1988년)을 이끌던 전두환 전 대통령은 대통령 간선제를 통해 연임(11~12대)하면서 독재정권에 지쳐가던 민중을 자극했다.

연임 이듬해인 1986년 개헌 서명운동에 1,000만 명이 동참하는 등 군부 정권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1987년 4월 13일 전 전 대통령이 1987년 '4ㆍ13호헌(護憲) 조치'를 통해 국회의 개헌 논의를 중단시켰다.

이 조치를 통해 군부독재 정권이 확실시 되자 온 국민의 민주화 열망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 경찰은 이 사건을 조직적으로 축소ㆍ은폐하려 했으나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에 의해 밝혀졌다.

같은해 6월 10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조작ㆍ은폐 규탄과 호헌 철폐를 요구하기 위해 '민주헌법 쟁취 국민운동본부(국본)'이 전국 22개 지역에서 개최한 국민대회에 약 24만 명이 동참했다.

이후 민주항쟁은 명동성당을 중심으로 5일 동안 이어졌다. 당시 젊은 직장인들로 구성된 '넥타이 부대' 가세와 전국 30여 개 지역, 500여만 명에 이르는 국민이  '민주헌법쟁취 국민평화대행진'에 동참하기에 이른다.

결국 1987년 6월 29일 당시 민주정의당(민정당) 대표였던 노태우 전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골자로 한 '6ㆍ29 민주화선언'을 발표하면서 전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군부독재 정권은 항복했다.

다만 같은해 12월, 16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진 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군부(하나회) 출신 민정당 소속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면서 '6ㆍ10 민주항쟁'은 절반의 성공만 거뒀다는 평가를 받게 됐다.

한편 지난 2007년 20주년을 맞이한  '6ㆍ10민주항쟁'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의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