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칼럼] 노벨상 받기 어려운 '한국의 사회적 구조'
[정치칼럼] 노벨상 받기 어려운 '한국의 사회적 구조'
  • 공인경 새정치민주연합 청년위원
  • 승인 2015.10.19 1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공인경 새정치민주연합 청년위원

지난 10월 5일과 6일 양일간 일본은 생리의학과 물리학 분야의 노벨상을 수상하면서 역대 일본 노벨상 수상자가 24명으로 늘었다.

국가별로도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한 일본은 21세기에 들어 기초과학 분야에서만 16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노벨상이 나오지 않는 이유가 뭘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기초학문 관련 학과 폐지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로 실용적인 학과에만 몰림현상 ▲성과, 실적 위주의 학계 풍토 등이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힌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정부는 과학자나 기초학문 연구자들에게 상이나 성과만 기대하며 다그치지 말고, 과학자의 호기심과 독창성을 지지해주고 기다려야 한다.

다시 말해 정부는 성과위주의 정책에서 탈피하여 과학 뿐 아니라 기초학문 분야에 대해 장기적 안목으로 투자, 육성해 나가야 한다. 

특히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일본의 무명 지방대'가 '노벨상 수상자'를 연이어 배출했다는 점이다.

실제로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과 물리학상 수상자는 모두 지방대 출신으로 알려졌으며, 지난해 물리학상을 수상한 나카무라 슈지 교수도 지방대 출신이다.

우리나라는 명문대 출신들도 노벨상을 타지 못하는데 이렇게 일본에서는 지방대 출신 과학자들의 노벨상 수상이 가능한 이유가 뭘까?

지난해 물리학상 수상자인 나카무라 교수는 "지방에서 태어나, 지방대를 졸업하고, 지방기업에 취직해 내가 하고 싶은 연구에 몰두했더니 노벨상을 받게 되더라"는 소감을 밝힌 바 있다.

소규모 지방대 출신 과학자들이 노벨상을 잇 따라 따내고 있는 배경에 대해, 명문대보다 연구 성과에 대한 압력이 적고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연구 분위기가 거꾸로 뛰어난 연구자들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국가의 연구예산으로 많은 대학에 지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국가의 연구예산을 주로 명문대에 집중 지원을 하는 것이 문제이다.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전국 4년제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연구비를 받은 대학은 4585억7200만원을 받은 서울대였다.

서울대는 2013년 4849억8300만원, 2012년 4571억6600만원을 받으며, 3년 연속 가장 많은 중앙정부 연구비를 받은 대학이었다. 뒤를 이은 연세대도 3년간 2위 자리를 고수했다.

정부는 지방대학에도 연구비를 차등하지 않고 지원하여 지방대학에서도 좋은 연구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성과위주의 연구 환경 속에서 연구결과도 빨리빨리 얻기를 바라고, 연구 지원도 명문대학 중심으로 집중 지원하는 한국 특유의 냄비 근성이 노벨상을 탈 수 없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 까 싶다.

우리 사회는 아직 뚝배기 같은 장인정신을 인정해 주지 않는 사회이다.

정부는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연구자들에게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고 지원을 해주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할 것이다. 

▲공인경 새정치민주연합 전국청년위원회 청년위원

※ 이 기사는 본지의 공식입장이 아닌, 필자의 견해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