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청년 10명 중 9명은 하나 이상의 빈곤 경험..맞춤형 정책 필요”
“서울청년 10명 중 9명은 하나 이상의 빈곤 경험..맞춤형 정책 필요”
  • 김다솜
  • 승인 2022.08.30 2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청년 10명 중 9명은 적어도 1개 영역에서의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빈곤과 비경제적 빈곤 위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로, 청년의 생애주기와 특성에 따라 빈곤 위험도 모두 달라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서울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실태와 정책방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청년의 빈곤 위험은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빈곤은 아동이나 노인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청년 빈곤은 취약집단에 한정되거나 부모에게서 독립하는 과정에서 관측되는 일시적 현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장기적 경기침체와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불평등 확대 등으로 인해 청년의 빈곤이 확대 및 고착화 위험이 커지고 있다. 계층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지난 10년간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20대의 주관적 건강상태 역시 악화됐다.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보고서는 청년 빈곤을 ‘성인 초기 사회적 과업 수행에 필요한 다차원적 자원과 기회가 결핍, 박탈, 배제된 상태’로 정의했다. 또한 ▲경제 ▲교육·역량 ▲노동 ▲주거 ▲건강 ▲사회적 자본 ▲복지 등 7개 영역 17개 빈곤 측정지표를 선정해 서울시 청년의 다차원 빈곤실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서울 청년 85.9%는 경제, 건강, 사회적 자본 등 1개 이상 영역에서 빈곤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영역 빈곤율은 경제(52.9%), 건강(40.3%), 사회적 자본(37.4%), 노동(35.4%), 교육·역량(22.9%), 복지(21.3%), 주거(20.3%) 순이었다. 지표 빈곤율은 ‘순자산 빈곤’(48.7%), ‘우울’(35.4%), ‘사회적 고립’(35.2%), ‘고용안정’(34.3%), ‘최저 주거기준’(19.1%) 순이었다. 

보고서는 단일 차원의 소득 빈곤은 청년 빈곤을 과소 추정할 위험이 있다고 봤다. 경제적으로 빈곤하지 않더라도 다른 영역에서 빈곤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 빈곤 상태가 아닌 청년도 건강이나 사회적 자본, 노동 영역에서 빈곤을 경험하고 있었다. 

서울 청년의 절반 가까이(42.5%)는 3개 이상 영역에서 빈곤한 중복 빈곤 청년으로 나타났다. 5개 이상 영역의 빈곤 청년도 10.5%였다. 중복 빈곤 청년은 경제, 건강, 사회적 고립 빈곤율이 가장 높았다. 

청년 특성별로 영역별 빈곤율을 비교한 결과 18~24세의 고졸과 전문대졸, 1인가구, 실업과 비재학·미취업 청년의 빈곤율이 높게 나타났다. 1인가구 청년의 경우 사회적 자본, 복지, 건강의 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빈곤 영역별로 빈곤 위험을 높이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성의 경우 사회적 자본 빈곤 위험이, 여성은 건강 빈곤 위험이 각각 컸다. 20대는 경제, 주거 빈곤 위험이 크고 사회적 자본과 복지 빈곤 위험은 낮은 반면 30대는 사회적 자본 빈곤 위험이 컸다. 

보고서는 “청년의 빈곤 위험은 빈곤의 영역, 청년의 특성, 생애주기별로 다르게 나타난다”며 “이는 전통적인 소득 중심 지원만으로는 이행기 삶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시 청년정책의 수립에 있어 비경제적 영역의 빈곤 대응을 위한 정책을 확대하고 청년 가구의 이질성과 욕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