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관악·부천·화성에 밀집..”직업·주택따라 수도권 지향”
청년들, 관악·부천·화성에 밀집..”직업·주택따라 수도권 지향”
  • 김다솜
  • 승인 2022.12.06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 유출로 인한 지방 인구 감소 및 경기 침체가 심화되는 가운데 국내 20~30대 청년들은 서울 관악구, 경기도 부천시, 화성시 등에 밀집해 거주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으로 올수록 청년들의 수도권 진입 연령이 낮아지고 있었으며, 주요 이동 사유로는 직업과 주택이 꼽혔다. 

국회미래연구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미래전략 Insight - 청년은 어느 지역에 살고, 어디로 이동하는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청년을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해 지역 분포를 살폈다. 그 결과 20~24세 청년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남녀 모두 경기 부천시, 화성시, 남양주시 등으로 나타났다. 

25~29세 청년이 가장 많은 지역은 남녀 모두 서울 관악구였으며, 30~34세와 35~39세는 남녀 모두 경기 화성시에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의 전체 인구 대비 청년층의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사설학원 수, 재정자립도, 교원1인당 학생수, 지역내총생산, 인구증가율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편이었다. 다만 청년층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녹지율이 낮은 편이었다.

ⓒ국회미래연구원
ⓒ국회미래연구원

지난해 20대와 30대가 가구주로 있는 가구의 이동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와 경기도 간 이동이 활발하게 이뤄졌으며 그다음으로 경상남도와 부산시, 인천시와 경기도 간 이동의 규모가 컸다. 20대는 경기도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경우가, 30대는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동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 20대의 경우 지방에서 출발해 서울로 도착하는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수도권 전입 청년 인구 변화를 최근 10년 전과 비교해 연령별로 살펴보면 과거보다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시기가 빨라졌다. 2011년의 경우 청년들의 수도권 전입시기는 남자 30~34세, 여자 25~29세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지난해에는 전체 이동의 이동규모가 10년 전보다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20~24세에 수도권에 전입하는 가구 수는 남녀 모두 증가했다. 특히 여자 20~24세 가구의 이동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으며, 25~29세 청년 가구가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기준 청년 가구가 수도권 지역으로 전입하는 사유를 살펴 보면, 연령별로 차이가 확인된다. 20~24세, 25~29세의 이동 사유는 남녀 모두 직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대 청년 가구의 약 40% 이상이 직업을 이유로 주거를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30~39세의 경우 남녀 모두 주택으로 인한 이동 비중이 가장 높았고, 직업으로 인한 이동은 그 뒤를 이었다. 

ⓒ국회미래연구원
ⓒ국회미래연구원

2011년 청년 가구의 주거이동 사유와 비교해보면 10년 전보다 지난해 청년들의 직업으로 인한 이동 비중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20~24세의 직업으로 인한 이동 비중은 2011년 남자 32.1%, 여자 33.4% 등으로 2021년의 각각 41.4%, 45.0%와 비교하면 10%p 가까이 커졌다.

이는 취업자 수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청년 취업자 수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도는 서울(전체 18.5%, 청년 22.4%), 경기(전체 26.2%, 청년 28.0%), 인천(전체 5.7%, 청년 5.9%) 등 수도권 지역이 상위를 차지한다.

보고서는 “청년층의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단순 진학이 아닌 취업과 정착까지 염두에 둔 결과라고 상정하면, 청년층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를 지역적으로 분산시키는 정책은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을 어느 정도 완화하고 청년의 지역정착을 촉진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년층의 진학, 취업 등을 위한 안정적인 주거지원 역시 청년층에게 중요한 정책”이라며 “일자리가 많은 지역이나 역세권 등에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을 비롯한 민간 주택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