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하철 유실물 127,387건…전년 대비 125% ↑
지난해 지하철 유실물 127,387건…전년 대비 125% ↑
  • 안지연
  • 승인 2023.02.13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갑 24.5%로 가장 많아, 휴대전화-의류-가방 순
자료=서울교통공사

지난해 코로나19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야외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지하철 유실물 또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가 2022년 한 해 동안 공사에 접수된 유실물이 총 127,387건으로, 2021년 유실물 101,618건 대비 125% 수준으로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지하철내에서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은 지갑으로 총 31,228건이 접수됐다. 전체 유실물 중 24.5%를 차지했다. 그 뒤로 휴대전화(16.5%) > 의류(14.4%) > 가방(14.2%) 순으로 집계됐다. 

가방에서 휴대폰, 지갑 등으로 가장 많이 잃어버린 지하철 유실물 품목도 변화 중이다. 10년 전 가장 많은 품목이었던 가방은 최근에는 4번째로 크게 밀려났다. 가방은 2006년 전체 유실물 중 31.6%(16,355건)에 달할 정도로 많이 접수됐으나,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휴대전화가 1위를 차지했다. 

2018년 이후부터는 지갑 분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 접수되는 지갑류 중 대부분이 얇은 카드 지갑인 것을 감안하면, 지갑 내 교통카드를 개찰구 등에서 사용 후 깜빡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2022년에 접수된 유실물 중 80,191건(63%)의 유실물이 본인에게 직접 인계됐다. 29,618건(23%)은 경찰에 이관됐고 17,578건(14%)은 보관된 채로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본인 인계율이 가장 높은 유형은 휴대전화로 94.1%에 달했다. 가방(78.9%), 지갑(78.2%) 역시 높은 본인 인계율을 기록했으나, 의류는 18,333건 중 단 1,833건만 본인에게 인계되며 10명 중 9명은 찾아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에 갑자기 물건을 두고 온 것을 인지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공사 관계자는 잃어버린 위치와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객안전실에 유실물을 신고하기 전, 열차 하차 시각과 방향, 승·하차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유실물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열차 하차 시간과 방향, 내린 위치는 유실물을 찾는 중요한 정보이다. 해당 정보를 통해 탑승한 열차를 특정하지 않으면 유실물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 틈을 통해 선로로 물건을 떨어뜨린 경우는 당일에 찾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을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 선로에 떨어진 유실물은 안전을 위해 열차 운행 시간에는 회수가 어렵기 때문이다. 선로에 물건이 빠졌을 때에는 물건의 종류와 승강장 위치를 함께 고객안전실로 신고하면, 영업 종료 후 수거해 다음 날부터 인계받을 수 있다.

이밖에도 각 역에서 유실물이 접수되면 우선 경찰청 유실물 포털 사이트인 ‘lost112’(www.lost112.go.kr)에 등록하며, 이후 호선별로 운영 중인 유실물센터로 인계된다. 승객이 바로 찾아가지 않을 경우 1주일간 보관 후 경찰서로 이관한다. 

lost112 사이트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앱으로 접속할 수 있다. 날짜와 물품 유형, 잃어버린 위치 등을 검색할 수 있으며, 사진이 등록되기도 한다. 검색 결과 본인의 유실물을 찾았다면, 신분증을 지참해 물건이 보관된 역 또는 유실물센터를 찾아가면 된다.

한편, 유실물센터는 지하철 내 물품 보관함에 유실물을 맡기는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유실물센터가 소재하는 역의 물품 보관함에 유실물을 보관하고 물건 주인에게 물품 보관함 번호와 비밀번호를 전송한다. 야근 등으로 유실물센터 영업시간 중 찾아갈 수 없는 시민들에게 크게 유용한 서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