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인가구 62% ‘외로움’..정신건강 정책도 맞춤형 대응 필요
서울 1인가구 62% ‘외로움’..정신건강 정책도 맞춤형 대응 필요
  • 김다솜
  • 승인 2023.01.26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 세계적으로 1인가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가운데 다인가구 대비 취약한 1인가구의 사회적, 정신적 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선 유형 및 특성에 따른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서울시 1인가구 실태조사를 활용한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및 정신건강 문제의 특성과 유형: 서울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인가구는 세계적으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가구 형태이자 주된 가구형태가 돼가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19년 기준 1인가구 비율이 28.4%이며 유럽연합(EU)은 2020년 기준 35.0%에 이른다. 우리나라는 2019년 처음으로 1인가구 비율이 30%를 넘어섰으며, 이후로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1인가구 증가에 따라 중요하게 부각되는 문제 중 하나는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다. 서울시 1인가구 실태조사에서는 1인가구 중 62%가 외로운 상태라고 응답하기도 했다. 외로움은 단순 정서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흡연, 음주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일각에서는 외로움에 대처하지 않는 것은 국가의 가장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 

영국은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지난 2018년 외로움 문제를 담당하는 장관을 임명하고 관련 데이터 수집과 축적을 통해 근거 및 전략 등을 마련하는가 하면 외로움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단체 지원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법무부 역시 지난 2021년 2월 ‘1인가구의 사회적 공존을 위한 법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를 발족, 1인가구 관련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서울시의 경우 2021년 1인가구 특별대책 추진단을 수립해 1인가구의 불안요소 해소와 삶의질 제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인가구의 외로움, 고립 문제 대응을 위한 각종 사업도 전개 중이다. 

그러나 1인가구가 가지고 있는 외로움과 고립의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 부재로 체계적 추진에 한계가 있다는 게 보고서의 진단이다. 

보고서는 서울시 1인가구 실태조사를 토대로 1인가구를 사회적·정신적 건강 문제에 따라 ▲외로움군 ▲고립군 ▲외로움우울군 ▲고립우울군 등 4개 유형으로 분류했다. 또 이 4가지 유형을 종합해 몇 가지 눈에 띄는 특징을 관찰했다. 

먼저 외로움은 경제적 취약과 관련이 있었다. 외로움과 외로움우울군은 외로움을 느끼되, 사회적 고립 상태는 아닌 것으로 진단된다. 이들 군에서 실업자와 저소득층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여부에 따라 대처하는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외로움군은 사회관계망 형성 정책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외로움에도 적극 대처하려 노력했다. 반면 고립군은 건강관리 정책의 필요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외로움에도 대처하지 않거나 혼술·혼밥 등 소극적으로 대처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고립군은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에 모두 해당되는 사람들이기에 외로움군보다 더 중첩된 문제를 가지고 있음에도 사회관계망 형성 정책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모순적”이라며 “이는 문제를 더 심화시킬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설명했다.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등 사회적 문제와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고립 우울군은 다른 유형에 비해 마음검진 및 상담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세 유형에서는 사회관계망 형성을 1순위로 꼽은 반면, 고소득층 비율이 높고 주관적 건강 상태가 상대적으로 원만한 고립우울군은 마음검진 및 상담의 필요성을 가장 높이 평가했다. 

보고서는 “전통적으로 사회정책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경제적 취약계층뿐만 아니라 소득 수준이 높고 안정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오히려 외로움, 사회적 고립, 정신건강 문제에 있어서 취약할 수 있다”며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에서 이들을 후순위로 배제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인가구 정책 대상은 누구나 될 수 있고 문제와 위험요인에 따라 대응전략도 달라져야 한다”며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및 심리적 지원은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