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갖다 주는 배달음식… 어디까지 왔나?
로봇이 갖다 주는 배달음식… 어디까지 왔나?
  • 이수현
  • 승인 2023.04.19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ettyimagebank
ⓒgettyimagebank

시범 주행만 가능하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상용화가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오토바이 대신 로봇이 배달해주는 음식을 받는 것이 일상이 될 수 있다. 정부와 국회는 서비스 로봇 상용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지원을 본격화하고 있다.

시범 주행만 가능했던 로봇, 이제는?

지금까지 자율주행 로봇의 시범 주행은 정부가 현행법에 어긋하는 법령을 일정 기간 면제해주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2021년 4월부터 가능했다. 하지만 최근 로봇 보도 통행 허용 개정안 통과 및 정부의 규제혁신 방안 발표를 통해 가까운 미래에는 정식 주행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3월 30일에는 실외 이동 로봇을 보행자에 포함시켜 보도 통행을 가능케 하는 도로교통법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실외 자율주행 로봇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실외 이동 로봇의 운행에 대한 근거와 보도 통행 허용 기준 등의 내용을 담은 '지능형 로봇법 개정안'도 국회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다. 이전에는 로봇을 차량으로 분류해 보도 통행이 제한적이었다면 이제는 자유로워진 것이다.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승인받은 우아한형제, 로보티즈, 뉴빌리티 등 일부 기업이 한정된 장소에서만 시범 운행하는 상황이었다.

정부도 로봇 산업 서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3월 2일 개최한 '제3회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제도 개선에도 속도를 내 51개 과제 중 39개 과제를 내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도통행 허용을 조기 시행 (기존 목표 2025년에서 2023년) 외에도 배달 로봇을 이용한 옥외광고를 2024년 허용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사실 로봇 산업은 이미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영국 시장 조사 및 컨설팅 기업인 ‘브랜드에센스 마켓 리서치 앤 컨설팅’(Brandessence Market Research And Consulting Private Limite)에서 지난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가 352억 4000만달러(야 47조 2984억원)에 달했으며 2027년에는 1409억 4000만달러(약 189조1668억원)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미 일부 기업들은 정부 및 국회의 제도적 지원을 기다리기라도 한 듯, 가능한 선에서 자율주행 배달 로봇을 활용 및 개발 중이었다.

네이버 제2 사옥 ‘1784’에서는 약 100대의 자율주행 로봇 '루키'를 통해 임직원에게 택배도시락카페 등의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지난해 한 달 동안 루키는 매일 평균 40여 건의 각종 배달 서비스를 소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뿐만 아니라 밤에는 경비를 설 수 있는 로봇이기도 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LG전자는 지난해 6월 ‘미래 모빌리티 분야 기술 협업 통한 서비스 공동 개발, 모빌리티 생태계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실내외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모델 발굴을 위한 협력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특정 점포나 건물에 한정되지 않고 복합서비스나 묶음 배송이 가능한 로봇으로 일반 건물에서도 쓰일 수 있는 로봇이 도입된 것이다.

배달의민족은 일찍부터 서비스 로봇 사업에 뛰어든 기업 중 하나이다. 2021년 12월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배달 로봇 '딜리드라이브'를 통해 아파트 현관 앞까지 음식 배달을 해주는 시범 로봇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동안 로봇배달 서비스 상용화의 발목을 잡았던 공동 현관문이나 엘리베이터 연동 문제를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해 해결한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계단 오르기와 같은 장벽이 있는가 하면 사람보다 시간이 오래 걸려 실제 사용률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보행자 안전과 개인정보 침해 위험성에 대한 안전망을 먼저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