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허리’였던 40대 1인가구, 고용 문제 속 사각지대
‘경제허리’였던 40대 1인가구, 고용 문제 속 사각지대
  • 이수현
  • 승인 2023.02.08 1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비자발적 퇴직자 17만7000천명
고용노동부 발표 ‘제5차 고용정책 기본계획’ 발표… 40대 관련 내용은 담기지 않아
ⓒgettyimagebank
ⓒgettyimagebank

지난 5년간 전 연령대에서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비중이 높은 도소매업, 제조, 건설업 등의 부진으로 일자리 타격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40대의 고용률이 유일하게 감소했다. 40~49세의 고용률은 2019년 79.4%에서 지난해 78.1%로 1.3%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60세 이상은 4.6%포인트, 15~29세 4.5%포인트, 30~39세 2.0%포인트, 50~59세 1.8%포인트씩 증가한 사실과 대조된다.

업종별 40대 취업자 변화를 보면 도소매업(-21만2천명), 제조업(-10만4천명), 숙박·음식업(-9만3천명), 교육서비스업(-8만2천명), 건설업(-7만4천명) 등 순으로 감소 규모가 컸다.

제조업·도소매업·교육서비스업·건설업은 지난해 기준으로 40대 취업자 비중이 가장 큰 4대 업종이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17만7000명으로, 동일 세대 전체 퇴직자의 45.6%에 달했다.

비자발적 퇴직자 비중은 2017년 38.5%에서 5년새 7.1%포인트 상승했다. 여기서 비자발적 퇴직자란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이나 정리해고 등으로 퇴직한 이를 뜻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로 OECD 38개국 평균(82.5%)보다 5.2%포인트 낮았고 순위는 31위다.

일자리 정책 패러다임 전환에서 제외된 40대

한편, 고용노동부는 30일 ‘일자리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5차 고용정책 기본 계획(2023~2027년·고용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5 고용정책 기본계획은 청년·여성 고용 취약계층을 지원 확대 사업·인구구조 전환 미래 대응체계 구축 인력 수급 미스매치 해소 현금 지원 대신 서비스 중심의 노동시장 참여 촉진형 고용 안전망 구축 직접 일자리 제공 대신 민관 협업 노동시장 정책 강화 5가지가 핵심이다.

이번 계획을 통해 청년(15~34살)의 고용률을 2021년 53%에서 2027년 58%로, 같은 기간 여성은 58→63%, 고령자(55~64살)는 66→71%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고용부는 청년·여성 등의 고용취약계층을 핵심 정책 대상으로 설정했다. 그동안 정부는 고용총량에 집중해 전체 고용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아왔다면, 이번 계획은 청년·여성 등 고용취약계층을 정책의 핵심 대상으로 삼는 것이 큰 특징으로 보인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