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 청년, 어떤 지원정책 이뤄지고 있나
고립∙은둔 청년, 어떤 지원정책 이뤄지고 있나
  • 이수현
  • 승인 2023.07.19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  100명 당  5명은 타인과의 의미 있는 교류 없이 사회에서 ‘고립’된 청년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고립 청년을 위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올해 5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이 발표한 ‘고립∙은둔청년 현황과 지원방안’보고서에 따르면, 19~34세 청년 가운데 2021년 고립 청년의 비율은 53만8000명(5%)으로 나타났다. 청년 100명당 5명꼴이다.

연구진은 ‘동거하는 가족 및 업무상 접촉 이외 타인과의 유의미한 교류가 없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지지 체계가 없는 경우’를 ‘고립’ 상태로 보고 있다.

고립·은둔 청년의 삶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다. 이들 중 삶에 ‘매우 불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17.2%로, 비고립 청년(4.7%)보다 3배 이상 많았다. 또 주관적 소득 수준에 대해서도 ‘매우 부족하다’고 답한 고립 청년(32.8%)의 비율이 비고립 청년 응답률(16.9%)보다 두 배나 높았다.

ⓒgettyimagebank
ⓒgettyimagebank

이에 고립∙은둔청년 대상의 지원 정책의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어떤 정책이 논의되었을까

7월 13일 서울시는 서울배달플러스(+)에 참여 중인 대표 민간 배달앱사 땡겨요, 위메프오, 먹깨비와 서울 고립·은둔 청년의 활력 증진 및 외출 독려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을 통해 서울시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에 참여 중인 청년 600명에게 포장 주문 전용 픽업 할인 쿠폰(1인당 최대 5000원·2매)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배너와 알림, 팝업 등으로 서울시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홍보에도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이다.

또 7월 초에는 서울 용산구에 전국 최초로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전용공간 0+SEOUL(영플러스서울)가 열렸다. 심리·정서부터 주거‧생활안정, 일자리‧진로, 교육과 자조모임 활동까지 자립준비청년의 출발을 도와주는 지원을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공간이다.

서울시의 이러한 정책은 올해 4월에 발표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보인다.

종합대책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지역별 위기군 분포 현황 분석 자료 등을 활용해 고립·은둔 청년을 발굴,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도 상시 상담 신청을 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또 고립·은둔 청년이 발견되면 현재 상태를 진단 ▲활동형 고립 청년 ▲비활동형 고립 청년 ▲은둔 청년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일 경험, 해외봉사 등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한 추가 프로그램이 제공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인천시사회서비스원도 7월 6일 지역 내 고립 청년 실태 파악 및 고립과 편견 예방 방안 모색을 골자로 하는 ‘인천시 고립 청년 지원방안 연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인천시의회가 제정한 ‘인천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근거로 '외부와 단절되어 정상적인 사회활동이 곤란한 사람을 은둔형 외톨이'로 정의하고 청년기본법에 따라 19세~34세 청년을 심층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또한 연구는 당사자인 고립 청년뿐 아니라 그들의 부모들이 겪는 실질적 어려움까지 해결하기 위해 집중하며 지자체가 추진하는 관련 지원정책을 면밀히 분석해 지원방안을 제안한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내년에는 고립 청년 실태조사 등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